열린충남

내용
계획은 산림청 산지관리기본계획을 근간으로 충남의 지역 여건을 반영하여 수립되었으며 산지를 담는 그릇으로서의 관리 개념에 입각해 전략계획과 공간계획으로 구성되었다 충청남도 15개 시군 내 민유림을 대상으로 산지보전 자연재해 대응 휴양공간 활용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관리방향을 제시했다
산지 현황 분석 결과 충남의 산지면적은 전체 행정구역의 513에 해당하며 사유림 비중은 875로 전국 평균보다 높다 최근 몇 년간 불법 산지훼손과 산사태 증가 산지전용의 비농업용 편중 등 문제가 부각되면서 계획적 개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산지관리를 위한 추진전략은 산림경관유역 맞춤형 관리 산줄기 연결망 구축 자연친화적 이용 및 복구 녹색서비스 기능 강화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산지의 환경경제적 가치 보호와 동시에 생활휴양 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증진시키려는 목표가 설정되었다
공주시 금산군 청양군 등은 규제지역 및 사방댐 설치가 많은 지역으로 관리 강도가 높으며 사유림 비중이 높고 토석채취 수요가 집중된 일부 지역은 지속가능한 이용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또한 산지복지 수요 확대에 따라 치유의 숲 자연휴양림 등 공익적 공간조성도 강조되었다
계획의 실행은 도시군 간 협력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하며 관련 조례 제정 산지전용 허가기준 개편 투자유도 및 정보시스템 구축 등 제도적 기반 정비가 병행된다 산지의 공익환경적 가치를 고려한 지역 맞춤형 관리체계를 통해 충남형 산지관리 모델 정립이 이 계획의 궁극적 지향점이다
목차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성격과 역할
3 계획의 범위
4 계획 수립방법 및 추진경위
Ⅱ 제2장 산지현황 및 관리여건
1 산지관리 현황
2 산지관리 여건변화
3 산지관리 계획과제
Ⅲ 제3장 산지관리 기본구상
1 계획의 비전 및 목표
2 추진전략
3 공간구조
Ⅳ 제4장 전략별 추진계획
1 산림경관ㆍ유역맞춤형 산지 관리
2 산줄기연결망 산지관리체계 구축
3 자연친화적 산지이용 및 복구체계 구축
4 산지의 녹색서비스 기능 강화
Ⅴ 제5장 권역별 산지관리방향
1 금강하류권역
2 금강상류권역
3 충남해안권역
Ⅵ 제6장 계획의 집행과 관리
1 단계별 추진방안
2 실효성 강화방안
3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근
충남리포트-153호-충청남도 행정통 ·리 마을의 최근 (2005~2010년)변화와 시사점 2015. 02. 17
예산 홍성 중추도시생활권 발전계획 수립(예산군) 2014. 11. 21
2015년 한국행정학회 하계공동학술대회(강마야,박경철,오충현,이인희,김형철) 2015. 07. 16
충남 소지역의 인구 및 가구. 주택 특성 분석 및 정책과제 2016. 04. 29
2019 지리학대회 충남연구원 특별세션(지역 포용성장의 거점, 사회혁신공간) 2019. 11. 22
-
구기운
당진군 현안과제 대안 모색을 위한 정책토론회 (김갑성,조봉운,권경득) -21세기 중부권 물류의 중심, 동북아 무역허브 당진- 2007. 02. 06
칠갑호 관광 명소화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 2014. 12. 1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06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06. 01. 0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청양 구기자 산업의 가치사슬과 발전방안 2010. 01. 01
-
조봉운
국가해양정원 조성방안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17-081) (최덕림,조봉운) 2017. 07. 11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열린충남49호 2009. 12. 01
-
오명택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충남리포트-166호-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과제와 전략 2015. 05. 01
서산·당진·태안 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당진시) 2015. 03. 24
-
손학기
충청남도 산지관리지역계획 수립을 위한 제1차 워크숍 (손학기,오용준,정옥식) 2013. 07. 24
2017 탈석탄 친환경 에너지전환 국제 컨퍼런스(CNI세미나2017-140) (Alex Doukas,정구윤,안중기,Al Armendariz,Stefan Taschner,Li Jun,신동현) 2017. 10. 24
2025년 열린충남 봄호 2025. 04. 21
적정기술을 활용한 충남 농촌체험 개선방안 연구 2016. 04. 01
열린충남40호 2007. 09. 01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
-
고혜진
마전권역 거점면 소재지 마을 종합개발사업 기본계획 용역 2010. 03. 30
칠갑호 관광 명소화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 2014. 12. 11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타당성 조사용역 2013. 06. 12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2012. 10. 25
-
김희영
지역자산을 활용한 충청남도 해비타트 모델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2012. 02. 01
예산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수립 (2012~2016) 연구 2012. 07. 30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에 관한 연구 2012. 01. 01
내포신도시 정체성 제고 및 차별화방안 마련을 위한 선행 연구 2012. 0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