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청남도 농촌중심지들은 천안시와 아산시동지역를 제외하면 소도시들로 대부분 정체 또는 쇠퇴 상태에 있어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한 실정임
중앙정부의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은 배후농촌지역과의 연계성을 전제로 농촌중심지의 기능과 역할에 부합되는 활성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으나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에서는 이러한 측면에 대한 고려나 반영이 미흡한 상황임
이에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가 중앙정부 정책에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방안이 필요함 첫째 중앙정부의 농촌중심지 활성화 관련 정책들에 대한 지역 차원의 통합적주도적 추진 방안 둘째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특성에 부합되는 활성화 전략과 모형 개발 방안 셋째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계획수립 역량 및 지역역량 강화 방안 넷째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를 선도할 추진체계 구축 및 제도 형성 방안
이후 생략
목차
2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추진현황과 문제점
3 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방향과 추진과제
4 결론 및 정책제언구위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명택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서산·당진·태안 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당진시) 2015. 03. 24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
-
김정연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2013. 07. 29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