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남 공공갈등관리 시스템 구축방안
기본

충남 공공갈등관리 시스템 구축방안

기간
2014. 01. 01 ~ 2014. 12. 31
연구책임자
최병학
키워드
민군갈등,갈등관리,구조방정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공공갈등관리 시스템 구축방안_최병학_20150121_(기본과제), 최병학, 민군 갈등관리 영향요인 분석, 단국대 분쟁해결연구, 2014.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지역의 민군 갈등관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지역적 특성 제도적 특성 신뢰협력 갈등정도 및 갈등관리 수준의 변수간 관계를 선형 구조방 정식Linear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적 특징 제도적 특성이 신뢰협력과 갈등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신뢰협력 역시 갈등관리 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갈등정도가 갈등관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하위 차원에서는 갈등관리수준 중 갈등시스템과 갈등관리 제도가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민군갈등에는 불안감이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협력 부문에서는 지역발전 노력과 공동체의식이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으로는 갈등이 심할 수록 신뢰협력은 높으나 갈등관리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인데 이러한 신뢰협력은 갈등에 대한 반작용으로 풀이되며 갈등관리 수준은 민군 양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이다
결국 현재 충청남도 지역의 갈등관리 관련 제도는 그 실효성이 별로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지역 차원의 민군갈등관리를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의 정비가 중요하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분석모형의 설정과 연구설계
Ⅳ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Ⅴ 결 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