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개최의 경제적 효과 분석
현안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개최의 경제적 효과 분석

기간
2014. 04. 07 ~ 2014. 04. 30
연구책임자
임재영
연구자
이종윤
키워드
전국 품질분임조,경제적 효과,소비지출,충청남도,생산유발효과,투입산출모형,관광지출,지역경제
다운로드

전국 품질분임조 경진대회 개최의 경제적 효과분석(2014.4.30, 임재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제41회 전국 품질분임조 경연대회 유치를 준비 중이며 본 보고서는 이 대회 개최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연대회는 2015년 8월 중 4박 5일간 충남도청 문예회관 및 리솜덕산에서 열릴 예정이며 연인원 약 9000명이 참여하고 총 사업비는 530백만원으로 구성된다 참가자 소비지출과 행사비용을 포함한 총 최종수요 변화는 약 1655백만원으로 추산되었다
참가자의 1인당 소비지출은 약 125000원으로 숙박비 음식비 교통비 문화오락비 쇼핑비 등이 포함되며 이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국민여행실태조사를 기준으로 산정되었다 전체 소비지출 규모는 약 1125백만원으로 숙박비 225백만원 음식비 450백만원 기타지출 450백만원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행사진행비용 530백만원이 추가된다
경제적 효과 분석에는 한국은행의 지역 투입산출표를 활용한 IO 모형이 적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충남도 내 생산 부가가치 노동소득 고용 등의 경제지표 변화가 추계되었다 충남에서는 생산액 약 24294백만원 부가가치 10131백만원 노동소득 4462백만원 고용 486명 증가가 예상된다 충청권 전체로는 생산 2637백만원 전국적으로는 39998백만원의 생산 증가가 예측되었다
행사로 인한 부가가치는 전국적으로 1655백만원이며 충남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고용 효과는 전국적으로 64명의 일자리 창출로 분석되었으며 이 중 509명이 충청권에서 발생하고 그중 대부분은 충남에 해당한다 이 효과는 이론적 추계를 기반으로 한 것이며 실질적인 지역경제 기여를 위해서는 행정적 사회적 준비가 병행되어야 함이 전제된다

목차

I 분석범위
II 분석의 전제
III 분석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