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10~`13년 솔바람길 이용고객 설문조사 결과분석
현안

`10~`13년 솔바람길 이용고객 설문조사 결과분석

기간
2014. 09. 01 ~ 2014. 10. 31
연구책임자
김경태
키워드
솔바람길,만족도,관광객 평가,교통수단,방문 목적,이미지,접근성,시설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10~`13년 솔바람길 이용고객 설문조사 결과분석_관리자_20161005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솔바람길 조성사업의 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충청남도 내 16개 노선 이용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방문 목적은 관광이 728로 가장 높았으며 방문객 중 424가 첫 방문자로 나타났다 방문자는 대부분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자가용을 이용했으며 충남 지역 방문객이 가장 많았고 원거리 지역일수록 동행 인원이 많았다 이는 지역 접근성과 홍보 활동이 이용객 유치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관광객이 솔바람길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아름다운 자연경관394점 저렴한 여행비용392점 쾌적한 환경387점에 대한 평가가 높았고 문화적 매력373점 역사유적지 보전371점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반면 위락시설306점 숙박시설327점 관광인프라332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교통편의392점 주차시설377점 화장실숙박시설각 360점에 대해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정표 및 안내시설306점 먹거리329점 접근성332점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홍성군이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당진시와 예산군 등은 낮은 평가를 받아 지역 간 격차가 드러났다
프로그램 측면에서는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 지역주민의 친절성 등에서도 지역별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보령 공주 서천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예산 청양 당진 등은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먹거리 개발과 주민 친절 교육은 관광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종합적으로는 볼거리339점 즐길거리330점 먹거리334점 등에서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남성 방문객이 586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연령은 30대와 40대가 각각 266로 가장 많았다 방문객의 627는 충남 지역 거주자였으며 이는 지역민 중심의 이용 양상을 반영한다 대전 서울 경기 등 인접 지역의 비율도 높아 향후 홍보나 교통편 개선 시 우선 고려 대상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솔바람길은 자연경관과 비용 측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지만 숙박 위락 안내시설 등 관광 인프라 측면에서는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 방문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시설 정비 차별화된 관광 프로그램 개발 안내 시스템 정비 주민 친절도 향상 등 실질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

목차

I 조사개요
1 조사 배경 및 목적
2 조사 방법
II 조사결과
1 솔바람길 이용
방문목적
솔바람길 방문횟수
솔바람길 동행자
교통수단
2 솔바람길 이미지
솔바람길 이미지에 대한 관광객 평가
3 솔바람길 만족도
솔바람길 만족에 대한 관광객 평가
솔바람길 접근성 부문 만족도
솔바람길 시설부문 만족도
솔바람길 프로그램 만족도
4 인구통계적 특징
성별
연령
거주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