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일본의 6차산업화는 고령화와 농촌 과소화 시장개방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된 농업 혁신 전략으로 1차 생산농림수산업 2차 가공 3차 유통서비스 산업을 융합하여 지역 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둔다 2010년 제정된 6차산업화법을 바탕으로 농림어업자와 협력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종합화사업계획 제도를 운영하며 사업 인정 시 재정인적 지원과 컨설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업 인정 요건에는 일정 기간 내 매출과 소득 증가가 포함되며 이를 통해 경영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구조다
6차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일본 전역에 6차산업화 서포트센터와 전문 인력인 플래너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들은 사업계획 수립부터 실행 컨설팅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저리융자 보조금 펀드 출자 등 재정적 지원이 병행되며 지역자원을 활용한 신상품 개발과 판로 확대 시설 설치까지 포괄하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경영체가 플래너 자문과 홍보 혜택을 받으며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어 상호 협력이 강화된다
2012년 기준으로 6차산업화에 참여한 사업체 수는 66350개로 이 중 농산물 직매장이 가장 많은 매출과 종사자를 기록하였다 여성의 고용 비율이 매우 높아 여성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직매장 가공업체 관광농원 등 대부분의 사업 유형에서 지역 농산물 사용률이 6080로 나타나 지역경제 순환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개인농가 중심 운영이 다수이나 매출 규모에서는 법인형태가 우위에 있다
농산물 직매장은 운영주체에 따라 매출과 영업일수 참여 농가 수 등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농협이 운영하는 곳이 규모 면에서 우수한 반면 농업인 운영 직매장은 소규모이지만 지역성과 자율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소비자는 신선도와 저렴한 가격 지역성과 계절감을 직매장의 장점으로 인식하며 접근성도 이용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매장의 전문화와 지속 가능성을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도시 지역에 설치된 농산물 안테나숍은 지역 농수산물의 판로 확대와 홍보 소비자 수요 파악 도농교류 촉진 등 다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부분 민간위탁 형태로 운영된다 연 매출 1억3억 엔 규모가 가장 많고 소규모 매장 중심이다 이들은 중소농가가 자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마케팅 브랜드 구축 등을 대행하며 도시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는 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6차산업화는 정책과 제도가 정비된 상태에서 중간지원조직과 현장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고 있으며 직매장 중심의 판매 시스템과 지역농산물 활용률 도시 연계 안테나숍 운영 등은 한국의 관련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농촌 중심의 가족농 기반 구조를 반영하여 마을 단위 경영체를 중심으로 한 활성화와 소비자 중심의 로컬푸드 전략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6차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일본 전역에 6차산업화 서포트센터와 전문 인력인 플래너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들은 사업계획 수립부터 실행 컨설팅까지 전방위적 지원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저리융자 보조금 펀드 출자 등 재정적 지원이 병행되며 지역자원을 활용한 신상품 개발과 판로 확대 시설 설치까지 포괄하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특히 경영체가 플래너 자문과 홍보 혜택을 받으며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어 상호 협력이 강화된다
2012년 기준으로 6차산업화에 참여한 사업체 수는 66350개로 이 중 농산물 직매장이 가장 많은 매출과 종사자를 기록하였다 여성의 고용 비율이 매우 높아 여성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직매장 가공업체 관광농원 등 대부분의 사업 유형에서 지역 농산물 사용률이 6080로 나타나 지역경제 순환에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개인농가 중심 운영이 다수이나 매출 규모에서는 법인형태가 우위에 있다
농산물 직매장은 운영주체에 따라 매출과 영업일수 참여 농가 수 등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농협이 운영하는 곳이 규모 면에서 우수한 반면 농업인 운영 직매장은 소규모이지만 지역성과 자율성이 강한 특징을 보인다 소비자는 신선도와 저렴한 가격 지역성과 계절감을 직매장의 장점으로 인식하며 접근성도 이용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직매장의 전문화와 지속 가능성을 위한 개선이 요구된다
도시 지역에 설치된 농산물 안테나숍은 지역 농수산물의 판로 확대와 홍보 소비자 수요 파악 도농교류 촉진 등 다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부분 민간위탁 형태로 운영된다 연 매출 1억3억 엔 규모가 가장 많고 소규모 매장 중심이다 이들은 중소농가가 자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마케팅 브랜드 구축 등을 대행하며 도시 소비자와의 접점을 넓히는 통로로 기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6차산업화는 정책과 제도가 정비된 상태에서 중간지원조직과 현장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고 있으며 직매장 중심의 판매 시스템과 지역농산물 활용률 도시 연계 안테나숍 운영 등은 한국의 관련 정책 수립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농촌 중심의 가족농 기반 구조를 반영하여 마을 단위 경영체를 중심으로 한 활성화와 소비자 중심의 로컬푸드 전략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의 6차산업화 주요 정책 분석
1 6차산업화법
2 6차산업화 종합화사업계획 인정제도
3 6차산업화 지원제도
Ⅲ 일본의 6차산업화 실태 분석
1 6차산업화 종합조사 결과 분석
2 농산물직매장 실태 분석
3 농산물 안테나숍 실태 분석
Ⅳ 결론
Ⅱ 일본의 6차산업화 주요 정책 분석
1 6차산업화법
2 6차산업화 종합화사업계획 인정제도
3 6차산업화 지원제도
Ⅲ 일본의 6차산업화 실태 분석
1 6차산업화 종합조사 결과 분석
2 농산물직매장 실태 분석
3 농산물 안테나숍 실태 분석
Ⅳ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
-
이영옥
열린충남61호 2012. 12.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6차산업 우수사업자 선진지 견학(일본 후쿠오카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2017. 08. 21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충청남도 희망 농어촌마을 만들기의 추진모형 및 실천전략 2011. 01. 01
태안군 공간정보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용역 2010. 03.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