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남 북부권천안 아산 서산 당진은 충남 GRDP의 751 제조업의 909를 점유하며 충남 산업의 핵심 거점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의 산업은 성숙단계에 접어들어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이 요구되며 세계경제의 통합화 중국경제의 부상 수도권 규제완화 등 대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아산만권은 경기남부와의 산업적 유사성과 연계를 통해 환황해경제권 중심지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각 시의 주력산업은 천안아산의 디스플레이 및 자동차 부품 서산의 석유화학 당진의 철강산업 등으로 특화되어 있다 천안과 아산은 전자산업 중심이며 서산은 화학제품 당진은 금속가공업과 철강산업 중심이다 수출입 규모에서도 아산이 충남 수출의 65를 차지하며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에 집중되어 있고 서산은 원유와 석유화학제품 수입수출 중심이다 당진은 철강재 수출입에 특화된 구조를 보인다
항만 물류 측면에서 평택당진항과 대산항은 각각 철강 및 석유화학 중심의 물동량을 처리하며 전국 5위 6위 항만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 배후시설과 교통인프라가 부족하여 물동량 처리와 연계 산업 발전에 제약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부두 확충과 도로망 정비가 시급하다 또한 산업단지와 항만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천안과 아산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품소재 및 장비의 국산화율이 낮아 기술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자동차 산업은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화 구조로 IT 융합형 지능형 자동차와 감성형 자동차 등 신성장 분야에 대응이 필요하다 석유화학 산업은 대산단지를 중심으로 성장 중이나 민간주도 개발로 인한 인프라 부족 문제가 존재한다 철강산업은 당진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세계적 공급과잉과 중국산 제품 유입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북부권은 주력산업의 고도화 신성장 산업 발굴 경기남부와의 연계 협력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LED응용산업 그린카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의 융복합 산업 육성이 중요하며 산업 입지 인프라 물류 체계의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아산만권 전체를 포함하는 광역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산업 환경 교통의 조화를 이루는 공동 발전 전략이 추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 북부권은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첨단산업 중심의 생산교역 중심지로 육성하는 종합적 전략과 실천 가능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요구되며 광역 협력 체계 구축이 그 실행력을 높일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각 시의 주력산업은 천안아산의 디스플레이 및 자동차 부품 서산의 석유화학 당진의 철강산업 등으로 특화되어 있다 천안과 아산은 전자산업 중심이며 서산은 화학제품 당진은 금속가공업과 철강산업 중심이다 수출입 규모에서도 아산이 충남 수출의 65를 차지하며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에 집중되어 있고 서산은 원유와 석유화학제품 수입수출 중심이다 당진은 철강재 수출입에 특화된 구조를 보인다
항만 물류 측면에서 평택당진항과 대산항은 각각 철강 및 석유화학 중심의 물동량을 처리하며 전국 5위 6위 항만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 배후시설과 교통인프라가 부족하여 물동량 처리와 연계 산업 발전에 제약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부두 확충과 도로망 정비가 시급하다 또한 산업단지와 항만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천안과 아산에 집중되어 있으며 부품소재 및 장비의 국산화율이 낮아 기술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자동차 산업은 대기업 중심의 수직계열화 구조로 IT 융합형 지능형 자동차와 감성형 자동차 등 신성장 분야에 대응이 필요하다 석유화학 산업은 대산단지를 중심으로 성장 중이나 민간주도 개발로 인한 인프라 부족 문제가 존재한다 철강산업은 당진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세계적 공급과잉과 중국산 제품 유입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북부권은 주력산업의 고도화 신성장 산업 발굴 경기남부와의 연계 협력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 특히 LED응용산업 그린카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의 융복합 산업 육성이 중요하며 산업 입지 인프라 물류 체계의 통합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아산만권 전체를 포함하는 광역 마스터플랜 수립을 통해 산업 환경 교통의 조화를 이루는 공동 발전 전략이 추진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 북부권은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첨단산업 중심의 생산교역 중심지로 육성하는 종합적 전략과 실천 가능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요구되며 광역 협력 체계 구축이 그 실행력을 높일 핵심 요소가 될 것이다
목차
I 논의의 배경
II 대내외 여건 및 관련계획 검토
III 충남 북부권 경제산업 여건 검토
IV 충남 북부권 주요산업 검토
V 시사점 및 육성 방안
부록
II 대내외 여건 및 관련계획 검토
III 충남 북부권 경제산업 여건 검토
IV 충남 북부권 주요산업 검토
V 시사점 및 육성 방안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백운성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세미나 (차두원,백운성) 2013. 04. 08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ICT산업 정책동향과 충남의 정책방향(김상태,백운성,설영훈,이영훈,한무호,고석철,최영근,이명섭) 2014. 01. 09
충남경제학회 충청지회 창립총회 및 학술대회(CNI세미나2017-159)(김기희,백운성,설영훈 외) 2017. 12. 01
열린충남37호 2006. 12.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