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청남도 내 6개 시군 14개 기업의 본사 및 공장 이전은 총 4580억 원의 투자를 수반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나뉜다 건설효과는 부지 조성 시설 건설 등에서 발생하며 일시적이고 전국적으로 분산되는 반면 생산효과는 기업이 정상 가동을 시작한 후 지속적으로 해당 시군에 발생하는 효과로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이 장기간 유지된다 충남의 입장에서는 생산효과가 보다 중요하며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14개 기업의 이전으로 인해 총 3598명의 고용 약 2조 8560억 원의 생산 6024억 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진은 6개 기업이 입주하여 약 2조 원 이상의 생산과 5000억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가장 큰 경제적 효과를 보였다 홍성 아산 서산 등의 지역도 고용 및 생산 증대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하였다 이는 지역 산업 구조 고도화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건설효과는 4580억 원의 투자비 집행을 통해 약 1조 3010억 원의 전국적 생산 증가 약 4580억 원의 부가가치 6503명의 고용을 유발하였다 이 중 충청남도 내에서만 약 49의 생산효과 51의 부가가치 665의 고용이 발생해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효과는 투자 기간 동안에만 발생하는 단발적 성격을 가지며 장기적 경제 기여도는 생산효과에 비해 낮다
투자 기업들은 플라스틱 반도체 자동차부품 에너지 전자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대부분 특수목적기계 금속가공 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다 이로 인해 산업의 다각화와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련 산업과의 연계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고용 측면에서는 중소도시의 일자리 확대와 청년층의 정착 유도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는 기존 기업 유치의 효과 분석에서 건설효과 중심으로 접근하던 한계를 지적하고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자립적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효과 중심의 평가와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 유치 전략 수립 시 투자 유치 이후의 실질적인 지역 내 경제 순환 효과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기업 이전은 충남 지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며 특히 장기적이고 지역 중심적인 생산효과가 핵심이다 이에 따라 충청남도는 단순 유치 성과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안정적 정착과 지속 가능한 가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14개 기업의 이전으로 인해 총 3598명의 고용 약 2조 8560억 원의 생산 6024억 원의 부가가치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당진은 6개 기업이 입주하여 약 2조 원 이상의 생산과 5000억 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가장 큰 경제적 효과를 보였다 홍성 아산 서산 등의 지역도 고용 및 생산 증대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기록하였다 이는 지역 산업 구조 고도화 및 고용 창출에 기여함을 시사한다
건설효과는 4580억 원의 투자비 집행을 통해 약 1조 3010억 원의 전국적 생산 증가 약 4580억 원의 부가가치 6503명의 고용을 유발하였다 이 중 충청남도 내에서만 약 49의 생산효과 51의 부가가치 665의 고용이 발생해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효과는 투자 기간 동안에만 발생하는 단발적 성격을 가지며 장기적 경제 기여도는 생산효과에 비해 낮다
투자 기업들은 플라스틱 반도체 자동차부품 에너지 전자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대부분 특수목적기계 금속가공 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다 이로 인해 산업의 다각화와 경쟁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련 산업과의 연계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고용 측면에서는 중소도시의 일자리 확대와 청년층의 정착 유도에 기여할 수 있다
연구는 기존 기업 유치의 효과 분석에서 건설효과 중심으로 접근하던 한계를 지적하고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과 자립적 발전을 위해서는 생산효과 중심의 평가와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 유치 전략 수립 시 투자 유치 이후의 실질적인 지역 내 경제 순환 효과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기업 이전은 충남 지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며 특히 장기적이고 지역 중심적인 생산효과가 핵심이다 이에 따라 충청남도는 단순 유치 성과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안정적 정착과 지속 가능한 가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목차
I 서론
II 기업이전의 배경과 현황
1 충청남도 내 기업 이전 개요
2 투자개요 및 이전기업 현황
III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분석
1 건설효과
2 생산효과
II 기업이전의 배경과 현황
1 충청남도 내 기업 이전 개요
2 투자개요 및 이전기업 현황
III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분석
1 건설효과
2 생산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종윤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지역경제 이슈발굴을 위한 미래전략연구 세미나(이종윤,홍원표) 2015. 02. 16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
중부대학교 이전의 효과분석 (임재영,이종윤) 2013. 09. 04
2016년 제2차 공공투자연구포럼(생태환경, 지역발전의 새로운 모티프로) 2016. 05. 09
-
임재영
정책이슈 발굴을 위한 공공투자연구포럼(김종민,이현주,김태균,임재영) 2016. 03. 31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도모를 위한 충남 산업정책의 방향(정준호,김영수, 임재영, 홍원표, 이종윤) 2014. 12. 29
충남 공공투자관리센터 개소기념 심포지움(CNI세미나2017-169)(전대욱,임재영) 2017. 12. 18
대중 기초통계 정비를 위한 실무진 회의(임재영) 2015. 06. 11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2017년 지방재정 투자심사관련 설명회(CNI세미나2017-012) (임재영,이종윤) 2017. 03.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