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 관리체계 연구
전략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 관리체계 연구

기간
2014. 04. 01 ~ 2014. 11. 30
연구책임자
송두범,이관률
연구자
고승희,임준홍,강수현
키워드
지속가능,발전지표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 관리체계 연구_김효주_20151201__이관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 필요성과 목적
충남도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의 경우도 지속가능발전 관련조례를 2010년 제정하기는 했지만 실제 관련정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충남도는 지난 2013년 지속가능발전지표106개를 설정하였다 충남도의 지속가능발전지표는 경제25개 사회25개 환경26개 행정 및 제도23개 배경7개로 구성이 되어 있다 한편 현재 충남도의 경우 지속가능발전을 충남도의 주요 도정방향으로 설정해 추진해 나갈 계획을 갖고 있다 따라서 현재 설정된 106개의 지속가능발전지표를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지표 관리방안 정립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도의 핵심도정인 지속가능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설정된 충남도의 지속가능발전지표 관리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설정된 106개의 지속가능발전지표를 주어진 것으로 간주하고 현재 충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구조와 진단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관리방안을 분야별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적 고찰 3
1 지속가능발전의 대두 3
2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의의 5
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필요성 5
2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개념 6
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특성과 기능 8
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특성 8
2 지속가능발전지표의 기능 10
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선행연구 11
4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실행과정 13
1 평가주체와 지속가능발전 목표의 정립 13
2 기본방향 및 평가틀의 설정 14
3 평가지표의 선정 16
4 지표평가와 보고서 작성 18
제3장 지표구조와 인식 20
1 지표의 구조 20
1 경제영역 21
2 사회영역 22
3 환경영역 23
4 행정 및 제도영역 25
5 배경분야 26
2 지표의 진단 26
1 진단의 개요 26
2 진단의 결과 27
3 미측정 지표의 고려 32
4 검토지표의 평가 33
5 진단결과의 종합 35
3 지표의 인식구조 39
1 조사개요 및 분석방법 39
2 조사대상의 일반특성 39
3 분석결과 41
4 종합결론 49
제4장 지표의 관리방안 50
1 지표의 관리 50
1 지속가능발전특별위원회의 구성 50
2 지표 관리과정의 확립 51
3 지표의 DB구축 53
2 지표의 구성 53
1 비전과 목표에 따른 지표설정 53
2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의 조화 54
3 핵심지표와 일반지표의 구분 55
3 지표의 산정 55
1 지표의 지수화 55
2 지표의 평가모형 56
3 목표달성도 평가 57
4 지표의 평가 58
1 평가의 방법 58
2 평가의 공개 59
3 환류 및 새로운 목표의 설정 59
5 지표의 활용 60
1 지속가능발전지표의 활용을 위한 제도 마련 60
2 지속가능발전지표 결과의 분석과 학습 61
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속적 개선과 관리 61
4 정책개발을 위한 세부 영역 및 대상에 대한 연구 62
6 지표의 홍보 62
1 지속가능발전지표를 통한 변화의 모니터링 62
2 고객지향적 정보제공방식의 구상 63
3 언론의 다각적 활용 64
제5장 결론 65
참고문헌 67
부 록 70
부록1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 인지도 설문조사표 71
부록2 지속가능발전지표에 대한 부분별 조사 분석결과 77
부록3 전문가 및 지표담당 공무원 의견 정리 88
부록4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지표 요약 132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