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1990년대 중반 이후 오리농법 도입과 흑미 재배를 통한 기술적 전환은 유기농업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했으며 도시 소비자와의 직거래와 교류가 마을 전체의 유기농업 정착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오리농법은 단순한 농법을 넘어 교육적정서적 의미까지 포괄한 상징으로 발전했다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은 공통 가치의 정서적 기반 자생 단체 조직화 구조적 기능화 성공적 실천의 순환적 구조를 갖는다 이는 단합을 토대로 한 마을 공동체의 힘이며 개별 농가의 실천 의지가 유기농업의 집단적 성과로 전환된 대표 사례다
이론적으로는 아마르티아 센의 케이퍼빌리티 접근법을 통해 유기농업을 정량적 생산성이 아닌 삶의 질과 자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이는 농업을 통한 자율적 삶 공동체적 가치 문화적 정체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는 평가틀이다
문당리 문산마을을 사례로 한 심층인터뷰에서는 토착 농민들이 유기농업을 통해 느끼는 긍지와 삶의 변화 그리고 세대교체의 어려움이 생생히 드러났다 고령화와 후계자 부재는 현재 홍동 유기농업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오리농법의 브랜드화 귀농자 유입과 연계된 공동체 유지 생산자소비자 연대 확대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무형 자산을 보전활용하기 위한 현장 밀착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홍동의 사례는 충남은 물론 전국 유기농업 발전의 이정표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II 이론적 고찰
1 이론적 검토
케이퍼빌리티의 개념
정보의 제한
누스바움의 리스트
불완전순서
케이퍼빌리티와 홍동 유기농업의 관련성
2 선행연구 고찰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III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과정
1 홍동 유기농업의 시작
유기농업의 계기와 애농회
유기농업의 실천과 풀무학교
유기농업의 확대와 협동조합 및 농가조직
2 홍동 유기농업의 성장
오리농법의 도입과 도시민과의 교류
오리농법의 확산과 흑미의 도입
오리농법의 정체와 상징성
3 사례연구 문당리 문산마을
개요
조사 결과
4 소결
IV 홍동 유기농업의 특징 및 과제
1 유기농업의 개념과 발전 과정
유기농업의 개념
국내 유기농업 발전 과정
일본 유기농업 발전 과정
세계적인 연대
2 홍동 유기농업의 특징
지역공동체 단합
소비자와의 연대
지역환경과 안전한 먹거리
3 홍동 유기농업의 과제
오리농법
후계자 문제
소비자와의 교류
V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기흥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마을학회 일소공도 공동 토론회(CNI세미나2017-072) 2017. 06. 24
충남리포트-(제288호) 충남 청년농업인 육성 실태 및 정책 방향 2017. 12. 22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제2회 동북아 농업유산 컨퍼런스 참가 및 농업유산 지역 조사 (일본 니이가타현) - 금산인삼농업유산 선진사례 2015. 06. 2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교토부 도시민 농촌유치 사례조사(일본 교토) 2016. 10. 24
(해외출장보고서)베트남경제연구소 초청세미나 2019. 01. 24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