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계획 초반에서는 부여군의 인구 및 세대 변화 자동차 등록 수 도로 연장 등 교통 인프라 전반에 대한 일반현황이 정리되며 이어서 최근 수년간의 교통사고 발생 추이와 사고 유형 원인 시간대 법규 위반 유형 도로 조건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사고 누적 지점과 고위험 구간 운수업체 사고 현황까지 포함한 입체적 분석을 통해 문제 지역을 도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사고 원인을 구조적 행태적으로 분류하였다 교통약자와 고령자 교통사고 비중이 높은 것도 부여군의 주요 이슈로 확인되었다
정책 목표는 충청남도와 연계하여 설정되었으며 사망자 수 감축 사고 건수 감소 등 구체적 지표가 제시되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 전략은 도로 및 보행환경 개선 교통약자 보호 확대 운수업체 관리 강화 교통문화 개선 ITS 등 스마트 기술 활용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또한 연차별 추진계획과 투자계획도 포함되어 있으며 사업별 우선순위 설정 기준과 재원 조달 방안이 명확히 제시되었다 국비도비군비를 적절히 배분하여 계획 실행의 실현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종합적으로 이 계획은 단순한 인프라 정비를 넘어 통계 기반 정책 수립 지역 실정에 맞는 실행 전략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 병행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여군 교통안전 행정의 체계적 기반을 다지는 데 목적이 있다
목차
제1절 과업의 배경 및 목적 3
1 과업의 배경 3
2 과업의 목적 3
제2절 과업의 범위 4
1 공간적 범위 4
2 시간적 범위 5
3 내용적 범위 5
제3절 과업의 수립 절차 6
1 법적근거 6
2 수립절차 6
제2장 일반현황 및 관련계획 검토 7
제1절 일반 현황 9
1 인구 및 가구 현황 9
2 자동차등록대수 현황 12
3 도로연장 현황 13
4 교통망체계 현황 14
제2절 관련계획 검토 15
1 제7차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20122016 15
2 교통사고 사상자 절반 줄이기 종합시행계획20082012 18
3 제3차 충청남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082020 19
4 제2차 충청남도 교통안전기본계획20122016 22
제3장 추진성과 및 안전수준 분석 25
제1절 교통안전정책 추진실적 27
1 제1차 부여군 교통안전정책 목표 27
2 부여군 교통안전정책 추진실적 28
제2절 교통안전정책 추진성과 33
1 제1차 부여군 교통안전 기본계획 대비 추진성과 33
2 부여군 연도별 교통안전정책 추진실적 대비 추진성과 34
제3절 부여군 교통안전 수준 35
1 교통사고 발생건수 35
2 교통사고 사망자수 37
3 교통사고 중상자수 39
4 분석종합 41
제4장 교통사고 발생추이 및 원인분석 43
제1절 교통사고 발생 현황 45
제2절 유형별 교통사고 발생 현황 및 추이 46
1 유형별 교통사고 현황 및 추이 46
2 법규위반별 교통사고 현황 50
3 음주운전 교통사고 현황 51
4 차종별 교통사고 현황 52
5 교통약자 교통사고 현황 53
6 도로종류별 교통사고 현황 56
7 도로형태별 교통사고 현황 56
8 도로폭별 교통사고 현황 57
9 발생 시기별 교통사고 현황 57
10 기상상태별 교통사고 추세 59
제3절 사고누적지점 및 구간 사고원인 60
1 선정기준 60
2 사고누적지점 및 구간 선정결과 61
3 사고누적지점 교통사고 및 교통환경 분석 68
제4절 운수업체 교통사고 발생현황 74
1 관내운수업체 현황 74
2 운수업종별 교통사고발생 현황 74
제5장 부여군 교통안전 정책목표 77
제1절 충청남도 교통안전 정책목표 79
1 목표설정 방법 79
2 세부연도별 충청남도 시ㆍ군별 사망자수 감소 목표 80
제2절 부여군 교통안전정책 목표 및 추진 전략 81
1 비전 및 정책 목표 81
2 계획지표별 감소 목표 82
제6장 부문별 세부추진계획 83
제1절 부문별 계획 수립방향 85
1 기본방향 85
2 중점 추진과제 설정 85
제2절 중점 추진 과제 1 안전한 도로 인프라 구축 87
1 세부추진과제 11 교통사고 누적지점 개선 87
2 세부추진과제 12 교차로 안전성 강화 96
3 세부추진과제 13 도로안전시설 설치 확대 98
4 세부추진과제 14 보행자 친화형 교통안전시설 확대 102
5 세부추진과제 15 보행우선구역 지정 및 확대 104
6 세부추진과제 16 건설기계 및 농기계 안전장치 보급 106
제3절 교통약자 보호강화 107
1 세부추진과제 21 어린이 보호구역 시설 확충 및 정비 107
2 세부추진과제 22 노인 보호구역 개선 109
3 세부추진과제 23 고령운전자 실버마크 부착 지원 112
4 세부추진과제 24 교통안전 보호장구 보급 지원 113
제4절 운수산업의 과학적인 안전관리체계 구축 114
1 세부추진과제 31 안전운전 및 에코 드라이빙 체험교육 지원 114
제5절 교통문화 선진화 117
1 세부추진과제 41 교통문화 수준 향상 117
2 세부추진과제 42 교통안전 교육 확대 120
3 세부추진과제 43 불법 주정차 근절대책 수립 및 단속 강화 127
4 세부추진과제 44 음주운전 근절 대책 129
제7장 연차별 세부추진계획 및 투자계획 131
제1절 부여군 재정 규모 및 분야별 투자사업 전망 133
1 재정현황 133
2 재정규모 전망 133
3 분야별 투자사업 전망 133
제2절 사업 우선순위 선정 135
1 교통안전사업 분류 135
2 투자우선수위 선정의 기본방향 135
3 투자우선순위 선정기준 136
4 투자우선순위선정 136
제3절 투자소요비용 산출 137
제4절 재원조달 방안 138
부록 139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형철
충남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 연구교류 공동워크숍(김형철,조종석,천승훈) 2015. 12. 08
충남 교통DB 활성화 방안 전문가 워크숍(김형철,조종석) 2015. 01. 21
충남 교통 물류 네트워크체계 발전방안(김형철) 2015. 06. 26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
-
유준일
교통흐름을 고려한 교통약자 우선신호 운영방안 연구 2013. 01. 01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2012. 10. 25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2012. 10. 25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2014. 01. 01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