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만리포 관광거점조성 타당성 조사 용역
수탁

만리포 관광거점조성 타당성 조사 용역

기간
2014. 03. 14 ~ 2014. 09. 13
연구책임자
김경태
연구자
이충훈,이인배,박철희,한상욱,임형빈,김형철,권미정
키워드
만리포,관광거점,타당성조사,태안군,유류유출,지역경제,해수욕장,관광개발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만리포 관광거점조성 타당성 조사 용역_관리자_20160913_1(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07년 유류유출 사고 이후 관광객이 급감하며 지역경제가 침체된 가운데 태안군은 만리포해수욕장을 중심으로 관광 거점을 조성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만리포는 과거 서해안 3대 해수욕장 중 하나였으나 시설 노후화와 관리 부족으로 경쟁력을 잃은 상황이다
사업은 해안도로 순환도로 탐방로 출렁다리 전망대 주차장 등 인프라 개선과 편의시설 확충을 포함하며 천리포수목원과 모항항을 연계하는 관광벨트를 구축한다 개발면적은 72만이며 20142017년 5년간 총 180억 원이 투입된다
지역 여건 분석 결과 태안은 해안국립공원과 리아스식 해안을 갖춘 자연 자원이 풍부하고 해수욕장 수목원 어항 등 인접 관광자원이 밀집해 관광연계가 용이하다 관광 수요 회복 가능성과 교통 접근성 향상도 긍정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내외 유사 관광지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지역 연계형 개발 주민 참여형 운영이 성공의 열쇠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만리포 사업 설계에 반영했다 설문조사 결과도 관광 인프라 개선에 대한 수요와 지불의사 존재를 확인하였다
수요추정 및 경제성 분석 결과 향후 연간 관광객 수는 230만 명 이상으로 예상되며 편익비용비BC는 134로 경제적 타당성도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유발효과는 약 450억 원 고용 유발은 3400명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효과로는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새로운 거점 조성 유류사고 이미지 개선 지역 주민 소득 증대 등이 기대되며 사후 활용계획으로는 관광거점 운영센터 관광상품 개발 지속적 홍보체계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목차

Ⅰ 사업의 개요
1 조사대상 사업개요
1 사업의 추진 목적 및 배경
2 사업내용
3 사업의 추진 경위
2 주요 시설 및 투자계획
1 사업비 산출내역
2 투자계획
Ⅱ 현황분석
1 태안군 지역여건 분석
1 광역환경 여건분석
2 관광환경분석
2 사업대상지 여건분석
1 대상부지 현황
2 인문환경 분석
3 주변지역 관광여건분석
3 관련계획 및 법규의 검토
1 관련계획의 검토
2 관련법규의 검토
4 관광환경과 동향변화
1 관광시장의 현황
2 관광시장의 변화
5 국내외 사례분석
1 해외사례
2 국내사례
3 시사점
Ⅲ 설문조사 및 수요추정
1 설문조사 분석
1 설문조사 개요
2 결과 분석
2 수요추정
1 만리포 관광거점 주변 관광객 수 변화추이
2 수요추정 분석방법
3 자연증가분 수요추정
4 설문조사법 수요추정
5 만리포 관광거점 창출수요
Ⅳ 사업타당성 검토
1 기본 계획안의 적합성 검토
1 해수욕장에 대한 개념과 특성
2 기본계획안의 타당성 검토 결과
2 공사비 적정성 검토
1 공사비 적정성 검토 종합
2 각 공종별 공사비 적정성 검토
3 경제성 분석
1 기본전제
2 비용 추정
3 편익 추정
4 경제성 분석 결과
4 정책적 분석
1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분석
3 정책의 일관성 및 추진의지
5 종합평가 및 정책제언
1 종합평가
2 정책제언
부록
1 설문조사 보기카드
2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