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연구는 먼저 환승할인의 개념과 국내외 시행사례를 검토하고 버스 이용자 입장에서 요금 부담 감소와 이동 편의 향상 교통 시스템 효율화 측면에서 제도의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특히 도시권 외곽 또는 면단위 지역에서 2회 이상 환승이 필요한 구조를 고려할 때 요금 단일화 또는 환승감면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예산군의 인구 구조 차량 등록 대수 도로망 교통량 농어촌버스 운행현황 등 교통 기반 여건을 정리하고 실제 환승 수요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통행실태 조사를 병행했다 가구 및 학교 단위의 설문조사 결과 주민들은 환승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특히 교통카드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일수록 제도 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후 환승통행 실태와 선호도 주요 환승지점을 분석하여 예상 수요를 추정하고 그에 따른 환승보조금 소요액을 시뮬레이션하였다 2014년 기준 요금자료를 바탕으로 환승으로 인한 수입손실을 추산한 결과 일정 보조금 투입으로 요금 손실을 보전하면서도 주민 편익과 이용률 증대 효과가 기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승제 시행방안으로는 요금 할인 방식 환승 허용시간 및 횟수 교통카드 충전 인프라 확충 등 다각적인 대안이 검토되었고 단기적 시스템 구축을 위해 기본 인프라와 운송업체 간 합의 기반 조성도 강조되었다 장기적으로는 광역버스 시내버스와의 연계도 고려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환승할인제도의 도입이 교통비 부담 경감 버스 이용 활성화 교통 복지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타당성이 충분하다는 입장을 제시하며 행정기술재정적 준비를 기반으로 한 단계별 도입을 권고하고 있다
목차
Ⅰ 용역의 개요
1 용역의 개요 1
1 배경 및 목적 1
2 용역명 및 연구기간 1
3 연구의 범위 1
Ⅱ 환승할인제도의 의의 및 필요성
1 환승할인제도의 의의 5
2 환승할인제도의 필요성 6
1 버스이용자 이용부담 감소 6
2 버스이용자 만족도 증가 6
3 사회적 형평성 확보 7
4 버스운영체계 효율화 도모 7
Ⅲ 환승할인제도 시행사례 및 시사점
1 환승할인제도 시행사례 11
2 시사점 17
Ⅳ 예산군 사회경제 및 도시교통 현황
1 지역 현황 21
1 입지 여건 21
2 행정 구역 22
2 사회경제지표 23
1 인구 현황 23
2 학생 현황 24
3 자동차대수 현황 24
3 도로망 체계 25
1 도로 현황 25
2 도로망 현황 26
4 주요 가로별 교통량 현황 27
5 농어촌버스 운행 현황 28
1 인력현황 28
2 면허차량 대수 및 면허노선 거리 28
3 차고지 시설 28
4 운수업체 경영실태 29
5 운행 노선도 30
6 농어촌버스 이용객 및 수입금 현황 31
Ⅴ 예산군 농어촌버스 환승통행실태
1 농어촌버스 환승통행실태 조사 35
1 조사 개요 35
2 설문지 설계 36
3 설문 결과 36
2 농어촌버스 환승통행 특성 37
1 농어촌버스 환승 선호도 37
2 농어촌버스 교통카드 사용률 38
3 농어촌버스 환승통행실태 40
4 농어촌버스 주요 환승 정류장 41
Ⅵ 예산군 농어촌버스 환승보조금 추정
1 추정 절차 45
2 추정 결과 46
1 2014년 예산군 농어촌버스 요금수입금 추정 46
2 2014년 예산군 농어촌버스 환승보조금 추정결과 49
Ⅶ 예산군 농어촌버스 환승할인제도 시행방안
1 환승요금 할인방법 55
1 환승요금 할인방법 대안별 특성 55
2 예산군 환승할인요금 할인방법 적용안 57
2 환승할인 허용시간 58
1 환승할인 허용시간 대안별 특성 58
2 예산군 환승할인 허용시간 적용안 59
3 환승할인 허용횟수 60
1 환승할인 허용횟수 대안별 특성 60
2 예산군 환승할인 허용횟수 적용안 61
4 교통카드 충전소 확대 설치 62
1 예산군 교통카드 충전소 설치 현황 62
2 예산군 교통카드 충전소 확대설치안 63
5 환승할인시스템 구축비용 64
1 전제사항 64
2 예산군 환승할인시스템 구축비용안 64
6 단계별 추진방안 65
1 단기안 65
2 중장기안 65
Ⅷ 결론 및 제언
1 결론 69
2 제언 70
부록
부록 1 가구방문 통행실태 조사양식 73
부록 2 학교방문 통행실태 조사양식 75
부록 3 학교방문 통행실태 조사 협조공문 77
부록 4 예산군 농어촌버스 무료환승제 시행 합의서안 78
부록 5 예산교통 코스표예산코스 81
부록 6 예산교통 코스표아산코스 98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형철
충남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 연구교류 공동워크숍(김형철,조종석,천승훈) 2015. 12. 08
충남 교통DB 활성화 방안 전문가 워크숍(김형철,조종석) 2015. 01. 21
충남 교통 물류 네트워크체계 발전방안(김형철) 2015. 06. 26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
-
유준일
교통흐름을 고려한 교통약자 우선신호 운영방안 연구 2013. 01. 01
2012년 청양군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및 교통안전기본계획 연구용역 2012. 10. 25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2012. 10. 25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2014. 01. 01
부여군 지방대중교통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8
청양읍 중심상권 활성화사업 연구용역 2013. 0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