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 기간
- 2014. 07. 22 ~ 2015. 07. 21
- 연구책임자
- 이관률
- 연구자
- 조영재,김종화,강마야,여민수
- 키워드
- 태안군,농업정책,농촌개발,6차산업,농촌관광,전략작목,농촌복지,가치사슬
- 다운로드
-
[홈페이지원문공개]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_이관률_20151008_요약보고서 수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_이관률_20151008_수정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태안군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_이관률_20151008_본보고서 수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내용
계획은 농업생산 농식품산업 농촌관광 농촌공간 복지 인적자원 등 6개 분야로 구성되며 각 부문별로 특성 분석과 함께 중점 전략사업을 도출했다 전체 추진기간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년이며 공간 범위는 태안군 전역이다
기초 현황 분석 결과 태안군은 인구 감소와 농업인 고령화가 심각하며 겸업농 비중이 높고 중소규모 농가가 중심이다 산업구조는 1차 및 3차 산업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농산물과 연계된 숙박음식소매업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중점 전략으로는 특화작목 육성 친환경 농업 기반 확충 6차 산업화 지구 조성 농촌자원 기반 관광 활성화 마을경관 리노베이션 귀농귀촌 인력 유입 등이 제시되었다 꽃다지 태안푸드 같은 지역 브랜드 강화와 로컬푸드 공급 체계도 포함되었다
또한 농촌복지 향상을 위해 일자리 창출 교통약자 지원 문화공감 프로그램 도입 등이 계획되었고 인적자원 분야에서는 농업회의소 설립 지역리더 양성 종합 DB 구축 등 주민 주도의 행정체계 기반도 마련되었다
총사업비는 연차별로 편성되며 민관 협력과 네트워크 기반의 추진체계 성과관리 방안을 통해 실행력을 높이고자 했다 태안군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과 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이행 계획으로서 역할이 기대된다
목차
1 과업배경 및 목적
과업배경
과업목적
2 과업성격 및 범위
과업성격
과업범위
3 과업의 내용 및 추진과정
과업내용
과업의 추진과정
II 제2장 현황 및 실태분석
1 일반현황
인구
산업구조
사회복지
2 농업농촌구조
농업구조의 변화
농산물 생산
농업활동 및 자원
3 농업농촌의 특성종합
III 제3장 기본구상
1 패러다임과 주요영역
패러다임의 전환
농업농촌의 주요영역
관련계획의 동향
2 기본전제 및 개발방향
기본전제
이슈 및 개발방향
미래전략작목의 선정
3 비전과 목표
비전 및 목표
부문별 가치사슬
중점전략사업의 도출
IV 제4장 부문별 발전전략
1 농업생산
정책환경
과제 및 기본전제
개발방향
주요사업계획
2 농식품산업
정책환경
과제 및 기본전제
개발방향
주요사업계획
3 농촌관광 및 도농교류
4 농촌공간 및 경관
5 농촌복지
6 농촌인적자원
V 제5장 중점전략사업
1 농업생산
2 농식품산업
3 농촌관광 및 도농교류
4 농촌공간 및 경관
5 농촌복지
6 농촌 인적자원
VI 제6장 투자 및 운영관리
1 투자계획
총사업비
연차별 투자계획
사업별 투자계획
2 재원확보 및 추진방안
재원확보방안
추진방안
3 성과관리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
-
여민수
한중FTA농림수산분야 대응방안 연구용역 2014. 11. 28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위한 효과적 재원확보방안 연구용역 2013. 10. 24
충청남도 3농혁신 2030발전계획 연구용역 2014. 03. 11
충남 로컬푸드 직매장의 실태 및 성공전략 2014. 01. 01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