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충남연구원과 충남도는 지난 2년간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연구와 정책워크숍을 개최하였고 그 결과 농업직불금 제도개선의 당위성에 대한 공감확산 및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사회적 합의를 확산해 왔음
우리나라의 현행 농업직불금 제도는 선진외국에 비해 다양하지만 실제 농가소득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 반면 농업직불금 내용은 농업생산에 한정되어 있어 선진 외국과 같이 농업농촌의 다기능성에 주목하고 있지 못함
농업직불금 제도가 정책적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것은 농업농촌의 내부적 문제가 아니라 농업직불금 제도의 정책적 문제에 기인한 것임 한편 농업직불금에 대해서 언론은 부정적이지만 국민은 긍정적 입장을 갖고 있음
이에 충남연구원과 충남도는 농업직불금 제도를 개편해 가칭 희망농업행복농촌 혁신정책으로 전환을 제시하고 있음 이는 현행 1축농업생산 중심의 농업직불금 제도를 제2축생태경관과 제3축행복농촌으로 확대한 것임
이후 생략
우리나라의 현행 농업직불금 제도는 선진외국에 비해 다양하지만 실제 농가소득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음 반면 농업직불금 내용은 농업생산에 한정되어 있어 선진 외국과 같이 농업농촌의 다기능성에 주목하고 있지 못함
농업직불금 제도가 정책적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한 것은 농업농촌의 내부적 문제가 아니라 농업직불금 제도의 정책적 문제에 기인한 것임 한편 농업직불금에 대해서 언론은 부정적이지만 국민은 긍정적 입장을 갖고 있음
이에 충남연구원과 충남도는 농업직불금 제도를 개편해 가칭 희망농업행복농촌 혁신정책으로 전환을 제시하고 있음 이는 현행 1축농업생산 중심의 농업직불금 제도를 제2축생태경관과 제3축행복농촌으로 확대한 것임
이후 생략
목차
1 문제제기
2 농업직불금 정책 및 인식
3 농업직불금 제도의 개선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2 농업직불금 정책 및 인식
3 농업직불금 제도의 개선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