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설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전통시장의 커뮤니티 증진을 통해 사람들이 전통시장을 찾아오도록 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
전통시장 활성화를 현재의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새로운 활동을 하는 새로운 소비계층의 발굴과 이를 위한 새로운 장소의 도입이 필요함
현재도 전통시장에 대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교통시설도로 주차장 등 확충에 집중되고 있어 실질적인 사람들의 활동을 유발시키는 커뮤니티시설 도입이라고 하기에 부족함
전통시장에 대한 이용수요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 도입 방안 마련이 필요함
첫째 전통시장 내 적용 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고 이들에 대한 적용방안을 제안함
둘째 충청남도 전통시장에 대한 커뮤니티시설 적용을 위해 전통시장 유형별 커뮤니티시설 적용방안을 제안함
셋째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 적용성 향상을 위한 관련 중앙부처 사업과의 연계통합 방안을 제안함
이후 생략
전통시장 활성화를 현재의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새로운 활동을 하는 새로운 소비계층의 발굴과 이를 위한 새로운 장소의 도입이 필요함
현재도 전통시장에 대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교통시설도로 주차장 등 확충에 집중되고 있어 실질적인 사람들의 활동을 유발시키는 커뮤니티시설 도입이라고 하기에 부족함
전통시장에 대한 이용수요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이용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 도입 방안 마련이 필요함
첫째 전통시장 내 적용 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고 이들에 대한 적용방안을 제안함
둘째 충청남도 전통시장에 대한 커뮤니티시설 적용을 위해 전통시장 유형별 커뮤니티시설 적용방안을 제안함
셋째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 적용성 향상을 위한 관련 중앙부처 사업과의 연계통합 방안을 제안함
이후 생략
목차
1 전통시장의 기능
2 충청남도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실태
3 충청남도 전통시장 유형별 커뮤니티시설 활용 방안
4 정책제언
2 충청남도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추진실태
3 충청남도 전통시장 유형별 커뮤니티시설 활용 방안
4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