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홍예공원 상징모형물 설치계획 수립
현안

홍예공원 상징모형물 설치계획 수립

기간
2015. 03. 02 ~ 2015. 04. 20
연구책임자
권영현
키워드
충남도청,홍예공원,상징조형물,공공디자인,현상공모,지역상징성,설치방식,조성비용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홍에공원 상징모형물 설치계획 수립_관리자_20160701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홍예공원 상징조형물 설치계획은 내포신도시 대표 공원에 지역 정체성과 심미성을 담은 예술적 조형물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로 기존 시공사 주도 방식이 아닌 공모방식을 채택하여 상징성과 예술성을 강화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기존 계획은 4곳에 동일한 형태의 조형물을 설치하는 방식이었으나 조형물의 주목성과 개별 콘셉트 부여의 어려움 예산 제약으로 인해 3곳으로 축소하고 콘셉트를 분리하여 제안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상징조형물의 콘셉트는 충남의 새로운 웅비이며 세부적으로는 환황해권 시대의 비상 포용에서 움트는 창조 결속이 이루어낸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담는다 디자인은 상징성 심미성 친밀성 친환경성 장소성 지속성을 기준으로 기획되며 조형물은 입구 결절점 교차지점 등에 배치하여 시각적 인지성과 공원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기여하도록 한다 특히 보훈공원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위치 선정이 강조되었다
조형물 유형은 상징조형물과 환경조형물로 구분되며 하나의 상징조형물과 두 개의 환경조형물을 조합하거나 전부 상징조형물로 구성하는 안이 제시되었다 규모는 위압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존재감을 갖춘 수준으로 계획되며 예산 제약을 감안해 각각의 작품에 차등을 두어 창작비 및 시공비를 설정하였다 공공조형물의 평균 조성비가 약 1억 7900만 원임에 비해 계획된 예산은 평균 3000만 원 수준으로 증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모방식은 전국 공모 또는 지역 제한 공모로 나뉘며 창작비와 시공비를 분리하거나 일괄하는 방식으로 제안되었다 예산이 확보된 경우 전국 대상 공모와 일괄 방식이 그렇지 않을 경우 지역 제한 및 분리 방식이 적합하다는 결론이다 심사위원은 조형 디자인 조경 등 전문가와 지역 인사로 구성하고 작품의 상징성 심미성 친밀성 지속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공모에 참여하는 작가나 업체에 대해서는 3년 이내 2억 원 이상의 공공조형물 당선 경력을 자격 기준으로 제안하며 응모자의 지역 및 경력 제한은 예산과 일정 여건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심사 방식은 작품성 중심으로 구성되며 평가 항목별 배점을 통해 공정성과 예술적 수준을 확보하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본 계획은 내포신도시를 대표하는 상징적 조형물을 통해 공공공간의 정체성과 미적 수준을 제고하고자 하며 적정한 공모방식과 실행계획 수립을 통해 조형물 설치의 공공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강조된다

목차

I 문제제기
II 연구의 목적 및 내용
III 공모방식의 타당성
IV 조형물의 영역 및 정의
V 원 계획에서의 제작 방향
VI 항목별 검토 및 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