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도민 대상의 공간정보 활용을 높이기 위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의 현황을 진단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2010년부터 웹 기반으로 제공되었으며 부동산 도로명주소 통계 문화관광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응답속도 지연 항공사진의 낮은 해상도 출력 기능 부재 등 이용자 불편이 많아 실질적 활용도가 낮다는 지적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의 대부분이 부동산이나 생활 정보를 찾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공무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도민 대상의 인구통계사회공간적 분석을 통한 이용자 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 개선과 콘텐츠 고도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공사 단수 정보 안전길 안내 등 실생활 밀접 정보의 실시간 제공과 같은 기능이 강조된다 또한 지도조작의 직관성 검색 결과의 빠른 반영 데이터 최신화 등이 요구되며 사용자 맞춤형 기능 도입을 통해 차별화된 공공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국내 타 지자체 사례 분석 결과 서울 경기 군산 등은 3D 지도 기반에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추가하고 사용자 참여형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충남은 도 산하 시군별로 분산된 공간정보시스템을 통합하여 일원화된 서비스 제공이 바람직하며 기존 시스템과 신규 기능 간의 통합 전략도 병행해야 한다 각 시군이 개별적으로 서비스 구축 시 혼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단위의 통합 시스템 운영이 중요하다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보완이 필요하며 초단위 응답시간 진단 도구 등 정량적 성능 분석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보의 최신성과 연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검색지도조작 등 주요 기능의 신속한 반응이 가능하도록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는 시스템 신뢰도 향상과 장기적 사용자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접근성 측면에서 외부 포털 검색 노출은 가능하지만 일부 시군 웹사이트에서는 도 공간정보시스템에 대한 링크나 안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구성이나 홍보전략 개선도 필요하다 교육 안내 기능도 강화하여 일반 사용자나 고령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모바일과 인트라넷 환경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전략이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충남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도민 중심의 실용적 공간정보 서비스로 거듭나기 위해 UI 개선 시스템 성능 향상 콘텐츠 다양화 사용자 분석 기반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포털지도 서비스와 차별화된 공공 플랫폼으로 발전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행정 효율성과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의 핵심 인프라가 될 수 있다
시스템 활성화를 위해 도민 대상의 인구통계사회공간적 분석을 통한 이용자 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며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 개선과 콘텐츠 고도화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공사 단수 정보 안전길 안내 등 실생활 밀접 정보의 실시간 제공과 같은 기능이 강조된다 또한 지도조작의 직관성 검색 결과의 빠른 반영 데이터 최신화 등이 요구되며 사용자 맞춤형 기능 도입을 통해 차별화된 공공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국내 타 지자체 사례 분석 결과 서울 경기 군산 등은 3D 지도 기반에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추가하고 사용자 참여형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충남은 도 산하 시군별로 분산된 공간정보시스템을 통합하여 일원화된 서비스 제공이 바람직하며 기존 시스템과 신규 기능 간의 통합 전략도 병행해야 한다 각 시군이 개별적으로 서비스 구축 시 혼선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단위의 통합 시스템 운영이 중요하다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보완이 필요하며 초단위 응답시간 진단 도구 등 정량적 성능 분석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정보의 최신성과 연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검색지도조작 등 주요 기능의 신속한 반응이 가능하도록 구조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는 시스템 신뢰도 향상과 장기적 사용자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
접근성 측면에서 외부 포털 검색 노출은 가능하지만 일부 시군 웹사이트에서는 도 공간정보시스템에 대한 링크나 안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민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구성이나 홍보전략 개선도 필요하다 교육 안내 기능도 강화하여 일반 사용자나 고령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모바일과 인트라넷 환경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전략이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충남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은 도민 중심의 실용적 공간정보 서비스로 거듭나기 위해 UI 개선 시스템 성능 향상 콘텐츠 다양화 사용자 분석 기반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포털지도 서비스와 차별화된 공공 플랫폼으로 발전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행정 효율성과 지역 맞춤형 정보제공의 핵심 인프라가 될 수 있다
목차
Ⅰ 연구개요
Ⅱ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추진방향
1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기술 분석
2 국내 타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분석
Ⅲ 충청남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현황
Ⅳ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진단
1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만족도 및 선호도 설문조사
2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결과
3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사용 의향 요인분석
4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접속이용 테스트 진단
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활성화 방안
Ⅵ 참고자료
Ⅱ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추진방향
1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기술 분석
2 국내 타지자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분석
Ⅲ 충청남도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현황
Ⅳ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진단
1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만족도 및 선호도 설문조사
2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결과
3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사용 의향 요인분석
4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접속이용 테스트 진단
Ⅴ 3차원 공간정보시스템 활성화 방안
Ⅵ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