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수산물 공동브랜드 추진방안에 대한 방향 설정
현안

충남 수산물 공동브랜드 추진방안에 대한 방향 설정

기간
2015. 05. 01 ~ 2015. 05. 31
연구책임자
권영현
키워드
양호한 어장 산지,공동브랜드,품질관리,충남 수산물,유통구조,브랜드 인증,지역 특산물,차별화된 어획방법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수산물 공동브랜드 추진방안에 대한 방향 설정_관리자_20160701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의 수산물 공동브랜드 도입은 수산물의 품질 향상과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한 시도로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여러 요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브랜드가 갖추어야 할 기본 조건으로는 양호한 어장 산지 등급화 및 품질 균일성 차별화된 어획 방법 품질관리 체계 포장 규격화 디자인 활용 역사적 스토리 사후 관리 등이 있으며 현재 충남 수산물은 이러한 조건에서 여러 제약을 안고 있다
브랜드 유형은 일반 상품명보다는 품질 인증 기능이 강한 증명표장 유형이 적합하며 적용 품목도 조건에 부합하는 대표 수산물 중심으로 해야 한다 기존 종사자의 적극적 참여와 우호적 소비층의 확보 유통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고 충남도는 이를 위한 독립적 사업운영체 구성을 검토해야 한다 운영체는 마케팅 인증 고객 응대 등 기능을 갖춘 조직으로 단계별로 설계할 수 있다
충남도는 과거에 청풍명월 쌀 브랜드 토바우 하늘소 한우 브랜드 진스큐 인삼 브랜드 등을 통해 광역 공동브랜드를 운용해온 경험이 있다 이들 사례는 브랜드의 품질관리 유통망 확보 생산자 참여 등이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동시에 일관된 품질 유지와 시장 신뢰 확보의 어려움도 나타났다 특히 진스큐는 도 브랜드로서 금산에 치우치며 소비자 혼선을 초래한 한계가 있었다
국내외 우수사례로는 안동간고등어 영광굴비 경남의 청경해 등이 있으며 이들은 장기간의 생산자 중심 노력과 지역 대학 및 행정기관의 협력 차별화된 품질전략을 통해 성공했다 일본의 경우 미야자키현 치바현 등에서 까다로운 품질 기준과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수산물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있다
충남의 수산업 여건은 어획량의 불규칙성과 복잡한 유통구조로 인해 공동브랜드의 안정적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고품질 어장을 갖춘 지역이 제한적이고 수산물 등급화 및 규격화가 미흡해 브랜드 운영의 기초가 부족하다 향후 충남도는 유망 품목을 선별해 점진적 도입을 시도하고 철저한 품질관리와 생산자 중심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분석내용과 자료수집
Ⅲ 공동브랜드란
1 브랜드의 정의 및 기능
2 지자체의 공동브랜드 활용
3 공동브랜드의 유래
4 브랜드 기능의 표시제도
Ⅳ 공동브랜드 활용 사례
1 충청남도 공동브랜드 활용 사례
2 타 지역 수산물 공동브랜드 활용 사례
3 일본정부의 수산물 브랜드화 사례
Ⅴ 수산업 여건과 정책 제언
1 수산물을 둘러싼 여건 변화
2 수산물 공동브랜드 도입 타당성
3 수산물 공동브랜드 도입 방향 및 사업운영체 구성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