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논산시 금본L 단위유역은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질개선사업계획이 수립되어 시행되었으며 본 평가는 2014년 한 해 동안의 추진실적을 분석한 것이다 평가 결과 금본L 유역의 평균 BOD 수질은 30mgL로 목표수질인 44mgL보다 낮아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다 수질은 3년 연속 목표를 만족시켰으며 오염원 역시 계획 수립 당시와 비교하여 큰 변동이 없었다
환경기초시설 및 오염원 삭감 시설은 설치되지 않았고 2014년에는 신규 개발사업도 없었다 지역개발부하량은 할당되지 않은 상태이며 삭감계획 역시 수립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나 투자 실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유역이 상대적으로 오염원이 적고 개발 압력이 낮은 지역임을 시사한다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등 다양한 오염원 항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대부분 변화가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었다 특히 축산과 양식 매립 관련 오염원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폐수 발생도 기존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지역개발 관련해서도 당해 연도에 승인된 개발사업이 없고 기존의 삭감시설 설치 계획도 없기 때문에 지역개발로 인한 수질 악화 우려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질오염총량 관리 차원에서 금본L 단위유역은 안정적인 상태로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 지역은 특별한 개발사업이나 오염원 유입 가능성이 낮은 지역으로 관리될 예정이며 향후 신규 사업이 추진될 경우 지역개발부하량 미할당 지역임을 참고해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논산시 금본L 단위유역은 목표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현행 관리방식이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환경기초시설 및 오염원 삭감 시설은 설치되지 않았고 2014년에는 신규 개발사업도 없었다 지역개발부하량은 할당되지 않은 상태이며 삭감계획 역시 수립되어 있지 않아 실질적인 사업 추진이나 투자 실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유역이 상대적으로 오염원이 적고 개발 압력이 낮은 지역임을 시사한다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등 다양한 오염원 항목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대부분 변화가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었다 특히 축산과 양식 매립 관련 오염원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폐수 발생도 기존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지역개발 관련해서도 당해 연도에 승인된 개발사업이 없고 기존의 삭감시설 설치 계획도 없기 때문에 지역개발로 인한 수질 악화 우려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질오염총량 관리 차원에서 금본L 단위유역은 안정적인 상태로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 지역은 특별한 개발사업이나 오염원 유입 가능성이 낮은 지역으로 관리될 예정이며 향후 신규 사업이 추진될 경우 지역개발부하량 미할당 지역임을 참고해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논산시 금본L 단위유역은 목표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현행 관리방식이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목차
Ⅰ 배경 및 목적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 평가방법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Ⅳ 평가결과 및 향후 관리계획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 평가방법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Ⅳ 평가결과 및 향후 관리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홍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행사 2016. 03. 25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동경-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연구 용역 2010. 07. 19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
문은호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3차) 2013. 12. 27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2차) 2012. 12. 03
2013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2014. 04. 14
부여군 2012년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이행평가 용역 2013. 03. 07
2단계 금산군 금본F 단위유역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2013. 03.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