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양호한 주거환경 만들기 지침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현안

충청남도 양호한 주거환경 만들기 지침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기간
2015. 06. 18 ~ 2015. 08. 30
연구책임자
임준홍
키워드
양호한 주거환경,충청남도,주거정책,커뮤니티,건강성,환경성,생활환경,주민참여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양호한 주거환경 만들기 지침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_관리자_20160701_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도는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양호한 주거환경 조성을 중요한 정책 방향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통합 지침을 제시하였다 해당 지침은 단순한 주택 공급에서 벗어나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고 주거복지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도민 행복 중심의 정책 실현을 위해 충남도 시군 주민 사업자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양호한 주거환경을 위한 정책의 기본 방향은 커뮤니티성 건강성 환경성의 세 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커뮤니티성은 공동체 기반시설 조성과 주민 참여 확대를 건강성은 보건체육 인프라 강화 및 안전한 환경 조성을 환경성은 깨끗하고 지속 가능한 생활환경을 위한 인프라 정비와 프로그램 개발을 포함한다
세부 가이드라인으로는 보행자 중심 도로 정비 저이용 공터의 소공원 및 주차장 활용 빈집 정비 및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전환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공간 활용을 통해 주민 간 교류를 촉진하고 생활환경을 개선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주민 건강을 위한 건강마을 조성 공원의 리모델링 유니버설디자인 도입 등은 생활환경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며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정책적 방향도 포함된다 공공시설의 기능 강화를 통해 지역사회와 연계한 건강 증진 방안이 강조된다
환경 측면에서는 자연 보존 에너지 절약 대중교통 이용 확대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 쓰레기 및 악취 관리 등 생활형 공해에 대한 대응 방안을 폭넓게 다루고 있다 특히 주민의 자발적 청결활동과 민관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정책 추진이 강조된다
이러한 지침은 단기적 정비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정책 목표와 연계되어 있으며 충남의 도시 및 농촌지역에 맞는 맞춤형 시책과 사업 발굴을 통해 지역 여건에 기반한 창의적 실천이 요구된다

목차

Ⅰ 지침의 개요
1 지침 작성의 배경
2 지침의 성격과 의미
3 지침의 목적
4 각 주체들의 역할
Ⅱ 양호한 주거환경 만들기 정책의 기본방향
Ⅲ 양호한 주거환경 만들기 기본지침 세부 가이드라인예시
61 공공공간 정비를 통한 주민 편리성과 커뮤니티 강화
62 생활환경 정비를 통한 주민의 건강성 강화
63 환경적 지속가능성 강화와 생활형 공해의 저감
참고문헌
붙임자료 1 일본 카스가이시 생활환경의 보전에 관한 조례
붙임자료 2 일본 니카호시 살기 좋은 환경 만들기 조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