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2030 천안 세계박람회 유치계획 검토
현안

2030 천안 세계박람회 유치계획 검토

기간
2015. 09. 07 ~ 2015. 09. 18
연구책임자
임재영
연구자
이종윤
키워드
미래 IT,인류 평화,등록박람회,천안시,인프라 효과,R&D 효과,관광산업,경제파급효과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2030 천안 세계박람회 유치계획 검토_임재영_20151008_(현안2015-110) 천안시 2030세계박람회 유치계획 검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천안시는 2030년 세계박람회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위상 제고를 목표로 하며 등록박람회로 추진하는 본 사업은 미래 IT 및 인류 평화를 주제로 설정되었다 박람회 개최는 약 6개월 동안 독립기념관 일원에서 열릴 예정이며 총 200개 국가와 50개 국제기구의 참여 3600만 명의 관람객을 목표로 한다 기대효과로는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 인프라 확충 관광 및 RD 산업 발전 등이 포함된다
세계박람회는 인정박람회와 등록박람회로 구분되며 등록박람회는 규모와 상징성에서 우위에 있다 과거 대전1993과 여수2012에서 각각 인정박람회가 개최되었고 그 경제 효과는 건설 및 관광 수요 증가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여수는 관광 소비지출 비중이 매우 높았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천안은 대규모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입지적 강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도권과의 접근성과 높은 RD 집중도를 갖춘 지역임이 강조된다
박람회의 주요 효과로는 건설효과 관광효과 인프라 개선효과 RD 촉진효과 등이 있으며 이 중 RD와 인프라 효과는 중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게 평가된다 여수 박람회의 경우도 관련 투자와 SOC 확충이 지역 경쟁력 강화로 이어졌고 천안의 경우 이를 능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과 경쟁 중인 천안시는 지리적 이점과 수도권 배후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하며 등록박람회 유치를 위한 타당성 확보와 박람회 컨텐츠의 질적 제고가 핵심이다 이는 단순한 규모의 경쟁이 아닌 주제의 명확성 컨텐츠의 혁신성 지역 참여의 실질성 등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천안은 교통 IT산업 RD 등에서 확실한 비교우위를 갖고 있다
천안시의 IT산업과 관련된 활동은 전국 대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연계된 박람회 개최는 기술 융합과 산업발전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 특히 박람회 후에도 명소화된 공간의 활용과 소비지출의 지속 유도 등 장기적인 경제 효과 창출을 위한 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기본계획과 타당성 조사가 병행되어야 하며 충청남도와의 협력이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2030 천안세계박람회는 천안과 충남의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할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명확한 주제 설정 주민 참여 유도 전문가 중심의 기획 대외 설득 전략 등이 유기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 또한 박람회가 끝난 후에도 지역 산업 및 관광 자산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속 가능한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목차

I 세계박람회의 개요
1 세계박람회 개최의 연혁과 의의
2 세계박람회의 구분
3 우리나라의 세계박람회 참가와 개최와 성과
II 세계박람회 유치 및 개최의 효과
1 세계박람회 유치의 기대효과
2 2012 여수 세계박람회 성과분석 결과
III 2030 천안세계박람회 개최계획안 검토
1 개최계획 개요
2 부산 세계박람회 개최와 비교시 천안개최의 타당성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