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주)**** 등 2개사 충남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현안

(주)**** 등 2개사 충남이전의 경제적효과 분석

기간
2015. 10. 15 ~ 2015. 11. 06
연구책임자
임재영
연구자
이종윤
키워드
동아제약,수석,충남이전,생산효과,건설효과,지역경제,투자유치,고용창출
다운로드

(현안과제) 2개기업 이전의 경제적효과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 내로 이전 예정인 동아제약과 수석 두 기업의 지역경제에 대한 파급효과를 건설효과와 생산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건설효과는 기업의 시설 조성과 장비 설치에 따른 단발적 경제효과이며 생산효과는 이전 기업의 지속적인 생산활동으로 인한 지속적 경제효과로 구분된다 특히 생산효과는 기업이 가동을 유지하는 한 지역 내에서 계속 발생하므로 정책적으로 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투자개요에 따르면 두 기업은 총 1925억 원을 투자하며 445명의 고용을 계획하고 있다 이 중 동아제약은 의약품 및 부외품을 수석은 유리 및 PET 용기를 생산할 예정이며 각각 82213와 106000의 부지를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신규 고용 140명을 기준으로 생산효과를 추산하고 투자 집행 정도에 따른 세 가지 시나리오를 통해 생산액과 부가가치 증가를 예측하였다
생산효과 분석 결과 최대 투자 집행 시 두 기업은 총 8만 백만 원의 생산액과 1만 9천 백만 원의 부가가치를 충남 지역에 유발하며 140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건설효과는 투자금 집행에 따라 전국적으로 발생하나 단발적인 성격을 가지며 충남 내에서는 당진시에 집중된 효과가 두드러진다 생산액 부가가치 고용 유발 효과 모두 당진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건설효과에 대한 분석에서는 투자 규모에 따라 최대 5449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약 1924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약 1956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는 투자 완료 시점에만 발생하며 이후에는 지속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분석은 간접추계법MRIO을 활용한 지역 산업연관모형을 바탕으로 수행되었으며 도내 기업이전의 실질적 경제효과를 수치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정책 결정의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생산효과의 중요성은 지역의 장기적인 경제 활성화 전략과 연계되어 기업 유치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핵심적이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기업 유치 시 단기적인 건설효과뿐 아니라 장기적인 생산효과를 중심으로 판단해야 하며 이전 기업의 지속적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실제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지는 유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목차

I 충청남도 내로 본사 및 공장 이전기업들의 투자개요
II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 구분
III 기업이전의 경제적 효과분석
1 생산효과
2 건설효과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