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2016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 체전 운영방향 설정 및 파급효과 분석
현안

2016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 체전 운영방향 설정 및 파급효과 분석

기간
2015. 01. 15 ~ 2015. 03. 31
연구책임자
김경태
연구자
임형빈
키워드
전국체전,장애인체전,충청남도,경제효과,문화체전,고용창출,관광객 지출,산업연관모형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16년 전국체전 및 전국장애인 체전 운영방향 설정 및 파급효과 분석_김경태_20160201_현안과제- 전국체전 및 장애인체전 운영 방향 및 파급효과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2016년 제97회 전국체육대회와 제36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를 개최하며 문화체전 참여체전 경제체전 안전체전을 4대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도민 참여를 유도하며 지역 자원을 활용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기대하였다 또한 경기장 안전과 편의성 확보에도 중점을 두었다
전국체전의 경제적 효과는 충남지역 기준 1291억 원의 생산 유발 428억 원의 부가가치 1155명의 고용 증가를 포함하며 관광객 및 참가자 지출로 인한 효과까지 합산하면 총 1646억 원의 생산 유발 584억 원의 부가가치 1973명의 고용 증가가 발생하였다 이는 충남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전국적으로는 더 큰 규모의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었다
전국장애인체전은 참가자 및 관광객 지출 기준으로 충남에 73억 원의 생산 유발 31억 원의 부가가치 168명의 고용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시설 건설을 제외한 순수 지출효과를 기준으로 분석되었다 전체적으로는 전국 단위에서 112억 원의 생산 유발 44억 원의 부가가치 205명의 고용 증가 효과가 발생했다
체전 개최에 있어 충남은 문화행사와 연계한 관광 콘텐츠 개발 온천 자원과 농특산물 연계 마케팅 지역상품 판촉 등 실질적 경제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병행하였다 특히 방문객 유도형 프로그램을 통해 관광지와 전통시장으로의 유입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국민 참여형 행사인 민속경연대회 건강음식대회 웰빙문화 공유행사 등을 병행하여 전국체전이 단순한 체육대회가 아닌 종합적인 지역축제로 확산되도록 기획되었다 이는 충남의 관광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전국체전 및 장애인체전은 충남의 지역경제 문화관광 주민참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복합적인 파급효과를 창출하였으며 향후 지역 간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과 체계적인 경제효과 분석을 통한 지속 가능한 지역 행사로의 정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I 세계유산 등재 개요 및 의의
II 전국체전 및 장애인체전 개최 계획
1 체전 개요
2 체전 준비운영 방향
3 추진방안
III 전국체전 및 장애인체전 개최 파급효과
1 분석의 개요
2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모형
3 효과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