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시민사회지원(과제,모임)

[시민사회 지원 작은 연구사업] 2015년 상반기 연구지원사업 성과보고회 및 시민단체 간담회

기간
2015. 12. 09 ~ 2015. 12. 09
연구책임자
김찬규
키워드
전통시장,경로당,축산,로컬푸드
다운로드

(2015_상반기 연구과제 지원사업) 상인공동체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방안 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_상반기 연구과제 지원사업) 전통시장 운영주체로서 지역상권관리구의 역할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_상반기 연구과제 지원사업) 충남도민의 삶의 질 개선방안 -충남형 경로당 활성화 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연구모임-우리동네문화공간제작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_상반기 연구모임 지원사업) 축산으로 인한 홍성지역 환경오염 및 주민 건강 피해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_상반기 연구모임지원사업) 농촌 소규모학교 활성화 모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연구모임-로컬푸드 생산자-소비자 조직화.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5_상반기 연구모임지원사업) 새로운 지역공동체 저널리즘 연구 모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제 1 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의 전통시장은 2002년부터 골목 비가림 시설인 아케이드 설치를 시작으로 주차장확보 간판정비 시장보행도로 정비 등 시설 현대화가 정부와 지자체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1996년 유통시설 개방과 함께 대형 유통마트와 무점포 방식이 인터넷 쇼핑몰 업태의 등장으로 쇠퇴의 길로 접어든 전통시장으로써는 큰 수혜자가 아닐 수 없다
전통시장의 변화는 이 같은 시설투자만이 아니다 지역을 기반으로 한 협동조합이 전통시장 활성화의 모델로 권장되고 문화예술을 통한 활성화 사업이 투입되고 있으며 전통시장을 청년 창업지원의 장소로 지원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이벤트와 공연 축제를 통하여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는 등 범 정부차원에서 정책적 전략 구현과 법제 지원 수단 등으로 다양하게 접근 되고 있는 것이다
이후 생략

목차

상인공동체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방안 연구
전통시장 운영주체로서 지역상권관리기구의 역할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충남도민의 삶의 질 개선방안 충남형 경로당 활성화 방안
축산으로 인한 홍성지역 환경오염 및 주민피해 조사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
2015 상반기 연구모임 과제지원사업 결과 보고서
충남 연구원 연구과제 완료 보고서 연구 모임명 로컬푸드 생산자소비자 조직화
새로운 지역공동체 저널리즘 연구 모임 성과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