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경제비전 2030
수탁

충남경제비전 2030

기간
2015. 02. 01 ~ 2016. 01. 31
연구책임자
백운성
연구자
강현수,신동호,조영재,김양중,김경태,임형빈,김용현,김형철,홍원표,이민정,최영화,김찬규,임병철,신준혁,송민정
키워드
충남경제비전,경제성장전략,메가트렌드,제조업 중심,산업구조 재편,고령화 대응,지역격차 해소,미래성장동력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경제비전 2030_백운성_20160315_충남경제비전2030_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산업구조 변화 속에서 새로운 성장동력과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충남경제비전 2030을 수립했다 기존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는 대외 의존성과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어 균형창조포용을 핵심 가치로 삼은 새로운 경제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이 바탕에 있다
세계경제의 저성장 기술융합 가속화 고령화와 기후변화 같은 메가트렌드는 충남경제에도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한다 특히 중국의 신실크로드 전략 국내 고령화의 급속한 진행 과학기술의 융복합화 등은 충남경제의 재편 방향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 분석된다
충남은 2000년 이후 전국 최고 수준의 경제성장을 기록했으나 대기업 중심 제조업 편중 북부권 집중 등 구조적 취약성도 확인되었다 수출과 생산은 증가했지만 소득 역외유출과 고용창출 효과는 제한적이었고 서비스업과 남부지역의 성장은 정체되어 있다
비전은 사람 중심의 포용경제 혁신과 균형의 충남경제로 설정되었으며 혁신산업 육성 사회적 경제 기반 확대 지역 간 균형 발전 사람 중심 경제로의 전환 등 10대 전략과 100대 과제가 제시되었다 산업구조 개편과 인재 양성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정책들이 핵심이다
또한 서해안 중심의 신산업벨트 구축 북부남부권 연계 개발 산업과학문화 클러스터 조성 등 권역별 발전전략도 포함되었다 경제비전 실현을 위한 재정계획과 추진체계 역시 마련되어 도민 참여 거버넌스 강화 성과관리 체계 구축 등을 통해 실행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충남경제비전 2030은 경제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전환을 추구하는 전략이며 대외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도내 불균형 해소를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I 충남경제비전 2030 수립개요
1 경제비전 수립 배경
2 도민의 참여를 통한 비전의 수립
II 미래에 대한 전망과 변화
1 메가 트렌드와 변화전망
2 최근의 경제여건 변화
3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III 충남경제의 성장과정과 현재
1 충남경제의 성장과정에 대한 검토
2 충남경제 진단
3 충남경제의 SWOT
IV 충남경제 20대 이슈별 분석과 진단
V 충남경제비전 및 추진전략
1 비전 설정을 위한 검토
2 충남 경제비전과 목표 추진전략
3 10대 전략과제별 추진방향
VI 2030년의 충남과 추진체계
1 2030년의 충남
2 경제비전 실천을 위한 재정계획
3 경제비전 추진체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