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계룡시 환경보전계획 연구용역
수탁

계룡시 환경보전계획 연구용역

기간
2015. 03. 02 ~ 2015. 11. 30
연구책임자
정종관
연구자
정옥식,오혜정,이인희,여형범,명형남,사공정희,고명찬
키워드
계룡시,환경보전,종합계획,생태보전,환경문제,토양오염,수질관리,대기질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계룡시 환경보전계획 연구용역_고명찬_20151231_일신편집-계룡시 환경보전-통합120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계룡시는 지속 가능한 친환경 도시 구현을 목표로 환경보전 종합계획을 수립했다 본 계획은 자연생태 토양 수질 대기 폐기물 소음진동 등 각 분야의 환경 현황을 분석하고 부문별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적 로드맵이다
지역 특성 분석 결과 계룡시는 군사시설과 주거지역이 밀접하게 분포하며 인구 증가와 도시화가 환경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수질오염 대기오염 폐기물 처리 미비 등 복합적인 환경 문제가 지적됐다
비전은 청정한 환경 쾌적한 도시 지속 가능한 계룡으로 설정되었으며 전략목표로는 환경질 개선 환경인프라 확충 시민참여 확대 등이 제시됐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SWOT 분석을 기반으로 3대 추진 전략과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자연생태 분야는 생물서식지 보호와 생태축 복원을 중점으로 하며 물환경 분야는 하천 수질개선 하수처리시설 확충이 핵심 과제로 선정되었다 토양과 폐기물 부문에서는 오염원 관리와 자원순환체계 구축이 강조된다
대기환경은 미세먼지 및 온실가스 대응 강화를 중심으로 계획되었으며 소음진동은 민원 다발 지역 중심의 정밀 측정과 저감 방안을 포함한다 각 분야는 중장기 목표와 연차별 세부사업 계획에 따라 실행된다
재원 조달은 지방비 국비 민간투자 등을 병행하여 추진되며 실행계획은 환경부문 지표 성과관리 법제 기반 구축 민관 거버넌스 확대 등을 통해 효과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종합계획은 계룡시 환경행정의 기본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목차

I 계획수립의 개요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계획수립의 배경
계획수립의 목적
2 계획의 성격과 지위
계획의 성격
계획의 지위와 연계성
3 계획의 기조와 역할
계획의 기조
계획의 역할
계획수립의 방향
4 계획의 범위 및 내용
공간적 범위
시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
계획의 내용
계획의 수립
5 이전 계획 평가
세부시행계획 실적
II 일반개황 및 여건분석
1 지역현황 및 특성 분석
지역특성
인문사회경제환경
환경관리 현황
2 관련계획 검토
국가환경종합계획
제5차 환경보전 중기 종합계획
제3차 충청남도 환경보전 종합계획
III 비전 수립
1 계룡시 환경잠재력 분석
강점
약점
기회
위기
2 계획의 비전과 추진전략
비전과 추진원칙
IV 자연생태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V 토양환경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VI 물환경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VII 폐기물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VIII 대기환경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IX 환경보건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X 소음진동
현황과 문제점
여건 변화와 전망
목표 및 전략
소결론
세부시행계획
XI 공간환경계획
1 필요성 및 수립지침
공간환경계획의 필요성
2 현황과 문제점
일반현황
문제점
지역별 공간계획
XII 분야별 투자 및 집행계획
1 분야별 투자계획
연차별 투자계획
세부 투자계획
2 투자 및 조달방안
투자재원 조달의 기본원칙 강화
환경지출 상향조정
민간자본의 적극적인 활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