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계룡시는 쾌적한 정주 환경 조성과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해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적정 처리하기 위한 5개년 계획20162020을 수립했다 계획은 폐기물관리법 제14조의3에 따른 법적 의무사항으로 국가 및 충남도 환경계획과 연계하여 추진되었다
공간 범위는 계룡시 전 지역6071이며 시간 범위는 기준년도 2013년을 바탕으로 목표연도는 2020년까지 설정되었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현황 분석과 발생량 전망 억제 목표 수립 및 실행 방안이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2013년 기준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은 116톤일이며 이 중 966가 가정에서 발생한다 2009년 대비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주거 형태별로는 공동주택보다 단독주택에서 발생량이 높았다 여름철 발생량이 점차 줄어드는 계절적 변화도 확인되었다
향후 발생량은 인구와 주택 증가율 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증가를 고려해 예측되었고 2020년까지 발생량을 109톤일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감량기기 설치 분리배출 강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등 다양한 정책수단이 제안되었다
수거체계는 배출원별로 구분해 단독주택 공동주택 사업장 등 각각에 맞는 수거방식을 적용하며 처리방식은 자원화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감량기기 설치 기준 수수료 부과 기준 처리비용 현실화 방안도 함께 검토되었다
성과 평가체계와 함께 주민 홍보 민간 참여 확대 타 시군 우수사례 반영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도록 했고 계획 이행을 위한 재정 확보와 행정조직 간 협력체계 구축이 후속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계룡시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체계 수립을 도모하고자 했다
공간 범위는 계룡시 전 지역6071이며 시간 범위는 기준년도 2013년을 바탕으로 목표연도는 2020년까지 설정되었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현황 분석과 발생량 전망 억제 목표 수립 및 실행 방안이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2013년 기준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은 116톤일이며 이 중 966가 가정에서 발생한다 2009년 대비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주거 형태별로는 공동주택보다 단독주택에서 발생량이 높았다 여름철 발생량이 점차 줄어드는 계절적 변화도 확인되었다
향후 발생량은 인구와 주택 증가율 음식점 및 집단급식소 증가를 고려해 예측되었고 2020년까지 발생량을 109톤일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목표로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감량기기 설치 분리배출 강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캠페인 등 다양한 정책수단이 제안되었다
수거체계는 배출원별로 구분해 단독주택 공동주택 사업장 등 각각에 맞는 수거방식을 적용하며 처리방식은 자원화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감량기기 설치 기준 수수료 부과 기준 처리비용 현실화 방안도 함께 검토되었다
성과 평가체계와 함께 주민 홍보 민간 참여 확대 타 시군 우수사례 반영을 통해 실효성을 높이도록 했고 계획 이행을 위한 재정 확보와 행정조직 간 협력체계 구축이 후속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계룡시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체계 수립을 도모하고자 했다
목차
Ⅰ 계획수립의 개요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내용
Ⅱ 일반개황 및 여건분석
1 지역현황 및 특성분석
입지
지형지세
수계
기후
자연환경현황
비오톱
2 인문ㆍ사회ㆍ경제환경
인구
주택
토지이용
도로 및 교통
사업구조
농업
축산업
상하수도 보급률
3 환경관리 현황
오염물질 배출시설
환경관리시설
Ⅲ 여건변화 전망 및 발생억제 목표 설정
1 여건변화
인구변화 전망
도시산업 변화 전망
2 발생억제 목표 설정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전망
Ⅳ 시행계획
1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계획
정부정책
조례준칙
자원화 정책
달성방안
2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계획
배출원별 책임
수집운반 및 처리 체계
처리방법
운영 및 관리
3 지원 및 홍보계획
수수료 부과체계
자원화 계획
수수료 현실화 계획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내용
Ⅱ 일반개황 및 여건분석
1 지역현황 및 특성분석
입지
지형지세
수계
기후
자연환경현황
비오톱
2 인문ㆍ사회ㆍ경제환경
인구
주택
토지이용
도로 및 교통
사업구조
농업
축산업
상하수도 보급률
3 환경관리 현황
오염물질 배출시설
환경관리시설
Ⅲ 여건변화 전망 및 발생억제 목표 설정
1 여건변화
인구변화 전망
도시산업 변화 전망
2 발생억제 목표 설정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 전망
Ⅳ 시행계획
1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계획
정부정책
조례준칙
자원화 정책
달성방안
2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계획
배출원별 책임
수집운반 및 처리 체계
처리방법
운영 및 관리
3 지원 및 홍보계획
수수료 부과체계
자원화 계획
수수료 현실화 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명찬
충남 지역 전력가격 차등화 방안 2014. 05. 01
충청남도 에너지전환 비전 수립 연구용역 2017. 04. 20
송전선로 주변지역 현황조사 결과분석 및 정책제언 2015. 01. 01
계룡시 환경보전계획 연구용역 2015. 03. 02
충남 에너지정책 세미나 2016. 10. 13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