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금강에서 발생한 큰빗이끼벌레로 인해 주민에게 혐오감 및 하천 생태계 파괴 불안감 금강본류 수질악화와 수생태계 변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어서 금강 중하류 물환경 특성조사 및 큰빗이끼벌레의 서식실태와 향후 대응방안을 검토하였음
큰빗이끼벌레의 서식상황은 쌍신공원 대전당진고속도로 교각 불티교 세종보 상류 마리나 선착장 주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상류 23km 부근 지점에서 다량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음
녹조 과량발생에 의한 pH가 상승할 경우 큰빗이끼벌레의 대량폐사 시 분해과정에서 용출되는 암모니아와 암모늄 이온의 화학평형 유지능력 저하로 수생태계의 균형 붕괴가 우려됨
금강수질 및 수생태 안정성 증진 대안으로 물 흐름 유속의 증가를 위한 보 개방 한시적 순간방류pulse discharge 등 대책이 요구됨
이후 생략
큰빗이끼벌레의 서식상황은 쌍신공원 대전당진고속도로 교각 불티교 세종보 상류 마리나 선착장 주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상류 23km 부근 지점에서 다량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음
녹조 과량발생에 의한 pH가 상승할 경우 큰빗이끼벌레의 대량폐사 시 분해과정에서 용출되는 암모니아와 암모늄 이온의 화학평형 유지능력 저하로 수생태계의 균형 붕괴가 우려됨
금강수질 및 수생태 안정성 증진 대안으로 물 흐름 유속의 증가를 위한 보 개방 한시적 순간방류pulse discharge 등 대책이 요구됨
이후 생략
목차
1 금강 큰빗이끼벌레 확산
2 금강본류의 수질 및 수생태 분석
3 큰빗이끼벌레 사멸에 따른 영향
4 정책제언
2 금강본류의 수질 및 수생태 분석
3 큰빗이끼벌레 사멸에 따른 영향
4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