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리포트-249호-일자리 미스매치 해결을 통한 충남 청년 취업 활성화 방안
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249호-일자리 미스매치 해결을 통한 충남 청년 취업 활성화 방안

기간
2016. 12. 22 ~ 2016. 12. 22
연구자
김병국
키워드
일자리,미스매치,취업
다운로드

1222-충남리포트 249호-일자리 미스매치 해결을 통한 충남 청년 취업 활성화 방안-김병국.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에서경제활동을 수행할 역량있는 인력을 확보하고 향후 경제활동을 수행할잠재적 우수인력의 육성이 이루어져야 함
충남의 경우 2차 산업인 제조업에 의존하는 산업구조로 산업 간 고용구조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 충남 북부 지역과 나머지 지역의 일자리 미스매칭 구조에 차이가 있고중소규모 기업들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 내 일자리구성이 저학력 위주의 일자리로 구성되는 경향이 존재하고 전문대수준의 학력을 지닌 청년들의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각함
2014년 충남도 워크넷에 의한 신규 구인인원은 122916명으로 전국 구인인원2509740명의 49를 차지하며 반면 신규 구직 건수는 156682건으로 전국 신규 구직건수4144371건의 38를 차지하고 있음 또한충남의 일자리 경쟁배수는 11배로 구직규모가 구인규모보다 크게 나타나는데 전국15배에 비해서는 낮은 편임
충남 청년취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가 및 충남도와 유관기관 간의정책연계성 강화
충남도내 공공부문과 사적부문 간의 네트워크 강화충남도내 대학의 취업역량 강화 및 중소기업의 매력 증대
충남도 청년취업의 미스매치 원인 해결
충남도 구인구직자 간 의식 차이 해결 등의전략이 필요함

목차

1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
2 충남 청년 취업 현황
3 충남 일자리 미스매치에 대한 구인자 및 구직자의 의식
4 충남 청년 취업 활성화 전략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