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충남은 2007년부터 전국 최초로 광역 차원에서 충남의 산림 하천 습지 연안에 대한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였을 뿐 아니라 15개 시군 전체에 대한 비오톱지도를 작성함
충남의 주도적 생물종다양성 전략 수립을 위한 통합적ㆍ현실적 방침을 마련하기 위해 각 시군 주요 산림들에 대한 보전ㆍ관리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지역적 차원의 산림생태축을 세부 설정하였음
지역별로 설정된 세부 산림생태축을 각 시군의 산림면적과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시군이 현재 산림면적의 4050 정도는 우선적으로 보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지역 전체면적 대비는 2030 수준 또한 충남산림 전체의 약 50 충남지역 전체의 약 25가 우선보전 및 관리가 필요한 산림생태축으로 나타났음
각 지역에서는 지역산림생태축의 핵심인 비오톱Ⅰ등급 산림을 지역에서 반드시 보전해야 할 우선보전산림으로 설정하고 지역산림생태축 설정을 위해 선별된 비오톱Ⅱ등급 산림은 지역산림생태축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우선관리산림으로 설정하여 보전관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충남 광역지역산림생태축 보전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 보호지역 지정 산지 관련 토지이용규제 방안 마련 지역산림생태축 대상 주민참여에 기초한 지역기반 산림관리 적용 및 확산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충남의 주도적 생물종다양성 전략 수립을 위한 통합적ㆍ현실적 방침을 마련하기 위해 각 시군 주요 산림들에 대한 보전ㆍ관리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지역적 차원의 산림생태축을 세부 설정하였음
지역별로 설정된 세부 산림생태축을 각 시군의 산림면적과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시군이 현재 산림면적의 4050 정도는 우선적으로 보전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음지역 전체면적 대비는 2030 수준 또한 충남산림 전체의 약 50 충남지역 전체의 약 25가 우선보전 및 관리가 필요한 산림생태축으로 나타났음
각 지역에서는 지역산림생태축의 핵심인 비오톱Ⅰ등급 산림을 지역에서 반드시 보전해야 할 우선보전산림으로 설정하고 지역산림생태축 설정을 위해 선별된 비오톱Ⅱ등급 산림은 지역산림생태축의 질적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우선관리산림으로 설정하여 보전관리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충남 광역지역산림생태축 보전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 보호지역 지정 산지 관련 토지이용규제 방안 마련 지역산림생태축 대상 주민참여에 기초한 지역기반 산림관리 적용 및 확산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음
목차
1 산림생태축에 대한 충남의 선도적 노력
2 충남의 주요산림 선별 및 경계설정
3 충남의 주요산림 가치평가를 위한 지표설정
4 충남의 주요산림 가치평가
5 생태적 위계 및 지역산림생태축 설정
6 정책제언
2 충남의 주요산림 선별 및 경계설정
3 충남의 주요산림 가치평가를 위한 지표설정
4 충남의 주요산림 가치평가
5 생태적 위계 및 지역산림생태축 설정
6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