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신기후체제에 대응하는 연안역 블루카본 잠재적 가치 평가 연구
현안

신기후체제에 대응하는 연안역 블루카본 잠재적 가치 평가 연구

기간
2016. 06. 22 ~ 2016. 08. 31
연구책임자
신우석
연구자
최무진,표정기
키워드
블루카본,탄소 흡수원,연안 생태계,기후변화 대응,갯벌 탄소 저장,탄소상쇄,충청남도 연안,경제적 가치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신기후체제에 대응하는 연안역 블루카본 잠재적 가치 평가 연구_관리자_20161128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 연안의 블루카본Blue Carbon 즉 연안 생태계가 저장하는 탄소의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전 세계 탄소 저장의 약 93가 해양에서 이루어지며 갯벌 잘피밭 염습지 등은 전체 해양 면적의 05에 불과하나 탄소 흡수량은 전체의 5071에 달해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충남은 전국 갯벌면적의 143를 차지하며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 흡수량에서 산림보다 우수한 수치를 보인다
충남 갯벌의 이산화탄소 저장량은 약 1808만 톤으로 추정되며 이는 연간 기준 약 39만 톤의 흡수력을 가진다 이는 2016년도 충남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의 81에 해당하며 블루카본 자원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는 수치다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총 2169억 원 연간 47억 원에 달하며 갯벌 외에 잘피밭 염습지 등의 탄소 흡수원도 추가 연구를 통해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보고서는 연안 탄소상쇄 제도를 도입해 블루카본을 활용한 감축사업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블루 인센티브와 블루 뱅크 개념을 도입해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해양 생태계 복원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는 구조를 구상하고 있다 또한 연안 청정 에너지해상풍력 해수 냉난방 등 활용 지역 내 연안 생산물 소비를 통한 푸드 마일리지 감축 등 다양한 접근이 함께 제시된다
블루카본 관리 정책은 자원의 분포도 작성 핵심 공간 조사 복원기술 개발 파괴요인 분석 등을 포함한 연구개발 사업과 장기 모니터링 체계를 포함한다 해수면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전이지대배후지 조성 방안도 제시되었으며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경제적 보상 체계 도입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전략은 연안 생태계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될 수 있다
충남은 특히 가로림만 태안군 서천군 등 블루카본 저장량이 큰 지역을 중심으로 블루카본 사업을 우선 도입할 수 있다 지역별로도 아산 당진 서산 등지의 갯벌이 탄소저장 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위면적당 저장량 기준으로 효율적인 정책 집중이 가능하다 갯벌 외 블루카본 자원의 실태 조사가 이뤄질 경우 연안 탄소 상쇄 기여도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블루카본의 환경적경제적 가치를 정량화하고 이를 기후변화 대응정책에 연계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충청남도는 블루카본을 활용한 연안 탄소상쇄 정책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동시에 생태계 서비스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목차

I 서론
II 충청남도 연안 블루카본 목록 및 잠재력 평가
III 블루카본의 환경경제적 가치
IV 연안탄소상쇄안 제안
V 연안 블루카본 정책 추진
참고자료
부록1 충청남도 갯벌 퇴적물 내 탄소저장량
부록2 도내 시군별 갯벌 내 탄소저장량 및 이산화탄소흡수량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