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3차)
수탁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3차)

기간
2013. 12. 27 ~ 2014. 12. 26
연구책임자
이상진
연구자
고승희,김홍수,김영일,정우혁,최정호,박상현,문은호,최무진
키워드
금강정비사업,수환경모니터링,수질변화,생태계평가,수생태계,환경기초시설,어류서식지,하상침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 수 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3차)_관리자_20160309_요약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강정비사업 이후 3차년도인 2014년 모니터링 결과 수온은 보 건설 이후 유속 저하와 체류시간 증가로 인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특히 세종보공주보백제보 하류 구간에서 두드러지며 이는 수질 악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질지표인 BOD5 COD Chla는 20112013년 일시적 개선 후 2014년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유기물 축적과 조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반면 TN TP는 환경기초시설 개선 효과로 지속적인 감소를 보이며 수질개선에 긍정적 신호를 나타냈다
생물지표로서 부착조류는 영양염 감소에 따라 호청수성종이 우세해졌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과 어류는 세종보백제보 인근에서 종 수와 개체 수 모두 급감하였다 이는 하상 침식과 정체수역 증가 등 하천 구조 변화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큰빗이끼벌레는 유속 저하 구간에서 대규모로 서식하며 폐사 시 수중 용존산소 감소와 암모니아 농도 증가를 초래해 생물 서식 환경을 악화시킨다 금강 본류 내 정체수역에서의 생태계 위협 요소로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하상 침식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하류 약 300600m 범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일부 교각과 제방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하수위는 보 상류에서 상승하고 하류에서는 하강하는 등 수문 구조물에 따른 변동이 관측되었다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중 일부는 이행되지 않거나 미흡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도 기능 저하 습지 관리 부실 수질 개선 미흡 등의 문제가 지적되며 향후 생태계 건강성과 수질 회복을 위한 정밀 대응이 요구된다

목차

I 수질 현황 평가
1 금강 본류 수질 평가
2 지류 하천 수질 평가
II 수생태 현황 평가
1 생태계 현황 평가
I구역
II구역
III구역
IV구역
V구역
2 조류어류 서식현황
조류
어류
3 수생태계 건강성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
어류
4 큰빗이끼벌레 생태특성 및 수환경 영향
III 하상변화 평가
1 보 상하류부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2 지류하천
V 하상 퇴적물 평가
VI 지하수 수위 현황 평가
VII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현황 평가
1 12458공구
2 3공구
3 67공구
4 행복지구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