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본 연구는 천안시 농촌지역의 중심지 계층구조를 분석하여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참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심지 계층을 도출하기 위해 데이비스의 기능지수법을 활용하고 읍면별 시설 개소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입지계수 및 기능지수를 계산한 후 군집분석을 통해 계층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천안시의 중심지는 총 4개 계층으로 구분되었다 제1계층은 동부지역으로 전체 중심성의 7699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제2계층은 성환읍이며 중심성 비중은 581로 동부지역에 비해 크게 낮았지만 그 외 지역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제3계층은 직산읍 성거읍 병천면 목천읍 입장면 풍세면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지수는 100220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지역은 제2계층보다 낮은 기능성을 가지며 제한된 중심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계층에는 광덕면 북면 성남면 수신면 동면이 포함되며 기능지수가 가장 낮고 중심지 기능 수행력이 부족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이들 지역은 기초적인 정주서비스 제공 정도의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천안시의 중심성은 동부지역에 매우 편중되어 있어 균형 있는 농촌 발전을 위해 중하위 계층 읍면의 중심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의 대상지 선정 및 참여 방향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분석 결과 천안시의 중심지는 총 4개 계층으로 구분되었다 제1계층은 동부지역으로 전체 중심성의 7699를 차지할 정도로 매우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제2계층은 성환읍이며 중심성 비중은 581로 동부지역에 비해 크게 낮았지만 그 외 지역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제3계층은 직산읍 성거읍 병천면 목천읍 입장면 풍세면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기능지수는 100220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지역은 제2계층보다 낮은 기능성을 가지며 제한된 중심지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계층에는 광덕면 북면 성남면 수신면 동면이 포함되며 기능지수가 가장 낮고 중심지 기능 수행력이 부족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이들 지역은 기초적인 정주서비스 제공 정도의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천안시의 중심성은 동부지역에 매우 편중되어 있어 균형 있는 농촌 발전을 위해 중하위 계층 읍면의 중심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의 대상지 선정 및 참여 방향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목차
Ⅰ 요 약
01 연구 개요
1 농촌지역 중심성 및 중심지 구분 필요성
02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방법
1 읍면 조사표 작성
2 분석방법
3 계층구분
03 천안시 농촌지역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결과
01 연구 개요
1 농촌지역 중심성 및 중심지 구분 필요성
02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방법
1 읍면 조사표 작성
2 분석방법
3 계층구분
03 천안시 농촌지역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