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신규 사업계획서 작성 및 시군별 중심지 계층 분석
현안

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신규 사업계획서 작성 및 시군별 중심지 계층 분석

기간
2014. 12. 01 ~ 2014. 12. 24
연구책임자
김정연
키워드
농촌중심지,계층구조,기능지수,입지계수,충청남도,중심성,중심지 분석,군집분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신규 사업계획서 작성 및 시군별 중심지 계층 분석_관리자_20160925_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홈페이지원문공개]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신규 사업계획서 작성 및 시군별 중심지 계층 분석_관리자_20160925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시군별 농촌중심지 계층구조 분석은 각 읍면 지역의 중심지 기능을 시설 중심으로 계량화하여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은 읍면 소재지를 중심으로 주변 마을들을 포함해 공공 및 민간의 상업서비스 시설을 조사하고 전화번호부 등 2차 자료도 활용하였다 주요 시설에 대해 입지계수와 기능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중심지의 중심성 정도를 계량화하였다
입지계수는 각 시설이 전체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며 기능지수는 중심지가 보유한 각 기능의 입지계수를 반영한 총합으로 중심성의 크기를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중심지들의 기능지수가 산출되며 계층구분은 자연적 단절점 혹은 군집분석 기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시군은 동부지역이 가장 높은 기능지수를 기록하며 중심지 1계층에 해당하였다 예를 들어 천안시 동부는 6123 공주시 동부는 5803 보령시 동부는 6177로 매우 높은 중심성을 보였다 이 외에 각 시군별로 24계층의 중심지들이 분포하며 기능지수에 따라 단계적 위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주요 도시 중심부 외에도 읍면 단위의 중심지들이 기능지수를 기반으로 계층화되어 향후 균형발전 정책 및 중심지 육성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부 면 단위 지역은 낮은 기능지수를 보이며 중심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간 생활권 형성 정도와 시설 분포의 차이를 반영한다
분석은 데이비스의 기능지수법을 적용해 지역 중심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는 단순 인구 규모가 아닌 실제 기능적 중심성을 측정함으로써 지역 개발 정책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충청남도 내 농촌중심지의 계층구조를 정밀하게 이해하고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목차

Ⅰ 농촌중심지 계층구조 분석방법
1 농촌중심지에 속한 마을의 파악
2 자료의 조사 및 데이터셋트 작성
3 입지계수 및 기능지수 분석
4 계층구분
Ⅱ 충청남도 시군별 농촌중심지 계층구조 분석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