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남도는 중국과의 전략적 교류 강화를 위해 랴오닝성과 장쑤성을 중심으로 중국 주요 지역의 정책 동향과 산업 구조를 분석했다 이는 충남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대중국 협력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특히 보하이와 황하이 연해지구를 마주하고 있는 충남은 중간재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로 인해 중국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랴오닝성은 만주지구의 핵심지역으로 고구려 유민과 조선족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역사문화적으로도 의미가 깊다 동북진흥정책 자원형 도시 재편 연해경제지대 전략 등이 추진되며 대북 접경지역 개발과 물류 인프라 확충이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장쑤성은 장강삼각주 중심지로 산업과 경제의 집약도가 높고 도시 간 기능분담을 통한 균형성장이 이뤄지고 있다
장쑤성과 랴오닝성 모두 13차 5개년계획20162020을 통해 산업 고도화 교통망 확충 해외 개방 확대 등을 추진 중이며 이러한 변화는 충남의 대외 전략 수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충남은 해당 지역과의 자매결연 협력사업 등을 토대로 실질적 교류 확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충남의 대중국 전략은 단순 경제협력을 넘어 지방외교 네트워크 구축 기업 간 협업으로 확장돼야 하며 각 시군의 역할 분담도 명확히 해야 한다 현지 지자체의 정책과 산업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랴오닝성과 장쑤성의 전략지표와 성장 동력을 정밀 분석해 충남의 산업 및 정책과 연계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지방 차원의 대중국 대응이 늦어질수록 기회비용은 커지므로 신속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기존의 허베이 산동성 연구를 포함한 비교 평가를 통해 충남 맞춤형 전략을 구축하고 교역교류 대상 지역의 현황을 정리해 실질적인 지역협력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충남은 환황하이 시대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랴오닝성은 만주지구의 핵심지역으로 고구려 유민과 조선족이 다수 거주하고 있어 역사문화적으로도 의미가 깊다 동북진흥정책 자원형 도시 재편 연해경제지대 전략 등이 추진되며 대북 접경지역 개발과 물류 인프라 확충이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장쑤성은 장강삼각주 중심지로 산업과 경제의 집약도가 높고 도시 간 기능분담을 통한 균형성장이 이뤄지고 있다
장쑤성과 랴오닝성 모두 13차 5개년계획20162020을 통해 산업 고도화 교통망 확충 해외 개방 확대 등을 추진 중이며 이러한 변화는 충남의 대외 전략 수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충남은 해당 지역과의 자매결연 협력사업 등을 토대로 실질적 교류 확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충남의 대중국 전략은 단순 경제협력을 넘어 지방외교 네트워크 구축 기업 간 협업으로 확장돼야 하며 각 시군의 역할 분담도 명확히 해야 한다 현지 지자체의 정책과 산업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접근이 요구된다 특히 랴오닝성과 장쑤성의 전략지표와 성장 동력을 정밀 분석해 충남의 산업 및 정책과 연계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지방 차원의 대중국 대응이 늦어질수록 기회비용은 커지므로 신속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기존의 허베이 산동성 연구를 포함한 비교 평가를 통해 충남 맞춤형 전략을 구축하고 교역교류 대상 지역의 현황을 정리해 실질적인 지역협력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충남은 환황하이 시대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목차
Ⅰ 제1장 서론
1 연구의 성격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Ⅱ 제2장 동북3성지구와 랴오닝성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1 동북3성지구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지역 현황과 경제발전 동향
주요 농업기지 현황
기반시설 건설
중북 접경지역의 현황
동북진흥 정책
2 랴오닝성 현황
랴오닝성 개황
랴오닝성 경제사회현황
랴오닝성 교통기초시설 현황
3 랴오닝성 지역 및 도시별 현황
랴오동지역
랴오서지역
랴오중지역
4 랴오닝성 주요 정책 동향
랴오닝성 13차 5개년계획20162020
랴오닝성 연해경제지대 전략
랴오닝성 선양경제구 전략
5 소결
Ⅲ 제3장 장강삼각주지구와 장쑤성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1 장강삼각주지구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장강삼각주 개황과 특징
산업구조와 생산력 배치
도시체계와 도시화 과정
장강삼각주 교통운수 발전 연혁 및 동향
2 장쑤성 현황
장쑤성 개황
장쑤성 경제사회현황
장쑤성 교통기초시설 현황
3 장쑤성 지역 및 도시별 현황
쑤난지역
쑤중지역
쑤베이지역
4 장쑤성 주요 정책 동향
장쑤성 13차 5개년계획20162020
장쑤성 연해지역 발전전략
5 소결
Ⅳ 제4장 종합 및 충남에 대한 시사점
1 종합
2 충남에 대한 시사점
충남의 대對중국 교류협력의 방향과 원칙
충남의 대對중국 교류협력전략
요우커遊客 충남 유치전략
참고문헌
1 연구의 성격과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Ⅱ 제2장 동북3성지구와 랴오닝성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1 동북3성지구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지역 현황과 경제발전 동향
주요 농업기지 현황
기반시설 건설
중북 접경지역의 현황
동북진흥 정책
2 랴오닝성 현황
랴오닝성 개황
랴오닝성 경제사회현황
랴오닝성 교통기초시설 현황
3 랴오닝성 지역 및 도시별 현황
랴오동지역
랴오서지역
랴오중지역
4 랴오닝성 주요 정책 동향
랴오닝성 13차 5개년계획20162020
랴오닝성 연해경제지대 전략
랴오닝성 선양경제구 전략
5 소결
Ⅲ 제3장 장강삼각주지구와 장쑤성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1 장강삼각주지구 개황과 주요 정책동향
장강삼각주 개황과 특징
산업구조와 생산력 배치
도시체계와 도시화 과정
장강삼각주 교통운수 발전 연혁 및 동향
2 장쑤성 현황
장쑤성 개황
장쑤성 경제사회현황
장쑤성 교통기초시설 현황
3 장쑤성 지역 및 도시별 현황
쑤난지역
쑤중지역
쑤베이지역
4 장쑤성 주요 정책 동향
장쑤성 13차 5개년계획20162020
장쑤성 연해지역 발전전략
5 소결
Ⅳ 제4장 종합 및 충남에 대한 시사점
1 종합
2 충남에 대한 시사점
충남의 대對중국 교류협력의 방향과 원칙
충남의 대對중국 교류협력전략
요우커遊客 충남 유치전략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인성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제14회 충청중국포럼(박인성) 2016. 09. 28
열린충남57호 2011. 12. 01
열린충남55호 2011. 06.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중국 흑룡강성, 하북성 국외공무출장 활동 보고서(중국 하얼빈, 북경, 하북성) 2014. 12. 08
-
비웨이닝
충남리포트-(제283호) 중국 랴오닝성.장쑤성 정책 동향과 충남 연계 방안 2017. 11. 29
제17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01) (고정식) 2017. 01. 18
제18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08) (구자억) 2017. 02. 22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중국산수입차 현황과 충남의 대응전략 2017. 08. 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