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잠재력 분석 및 육성과제
전략

충남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잠재력 분석 및 육성과제

기간
2016. 04. 01 ~ 2016. 09. 30
연구책임자
신동호
키워드
라이프케어산업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지역에서 해양생물 자원과 혁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육성가능한 해양 라이프케어산업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동 산업을 신성장 동력화하기 위한 향후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다만 해양 라이프케어산업의 향후과제를 지역의 관점에서 단계적단기중기장기으로 모색하되 향후 연관산업간 융복합화를 통해 충남지역의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 과제들을 발굴제시코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우선 해양 라이프케어산업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산업범위를 정하고 동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적 여건변화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해 동 산업의 성장 잠재력을 전망한다 둘째 정책공급측면에서 중앙정부의 정책동향과 상위계획을 검토하고 아울러 충남도를 포함한 여타 지자체들의 육성실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도내 활용 가능한 해양생물자원을 파악하고 아울러 해양 라이프케어산업의 실태를 산업생태계 관점에서 기업여건 및 인적물적제도적 인프라상의 제 문제점을 파악규명하고자한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연구범위 및 분석틀 2
4 연구추진체계 4
제2장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정의 및 선행연구 검토
1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정의 5
2 해양 라이프케어산업의 범위 8
3 선행연구 검토 및 관련 연구 동향 11
제3장 대내외적 여건 및 국내외 정책동향
1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14
2 국내외 정책 및 추진동향 18
3 충남도 정책동향 23
4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38
제4장 충남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현황 및 잠재력 분석
1 해양 라이프케어산업 현황 및 실태 42
2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 분석 57
3 해양 자원 및 산업잠재력 분석 64
4 SWOT 분석 및 향후 과제 91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요약 및 정책제언 94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95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