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충청남도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수립 용역
- 기간
- 2016. 07. 05 ~ 2016. 12. 31
- 연구책임자
- 박경철
- 연구자
- 조영재,김종화,강마야,김기흥,정지인,김정하

내용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 차원의 식생활교육 정책 동향 파악
국내외 식생활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충남도에 적용 방안 모색
0 충남도민의 식생활과 식생활교육에 대한 정확한 실태와 문제점 파악
충남도민의 건강 식생활 식생활교육에 관한 정확한 실태 파악
특히 학교와 농촌체험학습장에서의 식생활교육 실시 현황과 문제점 파악
0 충남도민의 바른 식생활문화 정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비전과 전략 제시
도민의 바른 식생활 문화의 정착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올바른 정책 비전과 전략 그리고 사업 방향 제시
특히 충남도 도 농업기술원 도 교육청 식생활교육충남네트워크 등 그동안 각 기관별로 진행된 사업들을 아울러 통합적인 식생활교육 추진 로드맵 제시
목차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1 연구의 배경 2
2 연구의 필요성 3
제2절 연구 목적 4
제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4
제4절 연구 추진체계 및 과정 5
1 연구 추진체계 5
2 연구 추진 과정 7
제5절 기대 효과 9
제2장 식생활교육의 여건 변화
제1절 정책변화 10
1 상위계획 제1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20092014 10
2 상위계획 제2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20152019 12
3 농업 및 식품정책 계획 13
제2절 환경변화 14
1 영양과잉과 남용 14
2 식품안전성 문제 17
3 친환경 자연주의로의 회귀 19
4 쌀 소비 감소로 인한 농민의 어려움 가중 20
제3절 국내외 식생활교육 트렌드 변화 21
1 교육 내용의 변화 21
2 교육 방법의 변화 21
3 교육 대상의 변화 21
4 국외 식생활교육의 변화 22
제3장 충남도 식생활교육 현황
제1절 정책 현황 30
1 충남도 농정국 30
2 농업기술원 31
3 충남도교육청 33
4 충남영양교육연구회 34
5 사식생활교육충남네트워크 35
6 충청남도 식생활교육 지정 대학 36
7 우수 식생활교육 체험 공간 식생활교육 현황 37
8 각 시군 식생활교육 현황 40
제2절 부분별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현황 42
1 가정 식생활교육 현황 42
2 학교 식생활교육 현황 42
3 지역사회 식생활교육 현황 로컬푸드 도농교류 등 46
4 기타 식생활교육 현황 각급 보건소 공공기관 등 48
제3절 충남 식생활교육 현황 및 의견 분석 50
1 도시민의 식생활교육에 관한 현황 및 의견 분석 50
2 농어촌체험학습장의 식생활교육 현황 및 의견 분석 59
3 종합 분석 및 계획과제 도출 66
제4장 충남도 식생활교육 기본 방향과 세부 실천과제
제1절 SWOT 분석 및 계획과제 70
1 SWOT 분석 70
2 계획과제 도출 74
제2절 비전과 목표 75
1 비전 75
2 핵심 가치 75
3 목표 76
4 전략 76
5 전략별 세부 추진 과제 77
제5장 전략별 추진 과제
제1절 바른 식생활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식생활교육 기반 구축 80
1 바른 식생활 소비습관 실천연속 80
2 생애주기별 식생활 교육신규 81
3 농어촌 인성학교 식생활교육프로그램 강화신규 82
4 농산촌유학 마을 육성 및 바른 식생활 프로그램 운영신규 83
5 가족밥상 함께하기사업명가족과 함께 식사해유실천 운동신규 84
6 푸드 마일리지 줄이기 캠페인신규 85
제2절 食農의 이해 및 가치 증진을 위한 학교지역 간 협력 강화 86
1 옴니채널 활용을 통한 도농교류 강화신규 86
2 도시근교 주말농장 및 도시텃밭 프로그램 운영연속 88
3 아파트숲속 논 만들기 확대연속 89
4 충청남도 마을만들기 및 미더유연계 바른식문화운동 전개신규 90
5 학교로 찾아가는 우리농부 선생님연속 91
제3절 먹거리인권과 복지 증진을 위한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확대 91
1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강화연속 91
2 저소득 고령자아동 대상 푸드스탬프 제도 운영신규 92
3 식품 알레르기 대응체계 구축신규 93
4 GMO 교육 전담강사 양성 및 교육신규 95
5 소외지역 학교 식생활교육 학습장 시설 지원신규 96
제4절 지역 고유의 전통 식문화 발굴 및 계승 발전 97
1 지역 향토음식 개발 및 전수연속 97
2 지역자원 연계 향토음식 관광 네트워크 구축연속 98
3 지역 토종농산물 홍보 및 음식 개발신규 99
제5절 식생활 개선을 위한 홍보 및 食農거버넌스 구축 100
1 충남 영양식생활 교육교재 보급 및 활용연속 100
2 로컬푸드와 연계한 식생활교육 식재료 조달체계구축신규 101
3 농어촌 먹거리 마을사업 관련 인력 교육 강화신규 102
4 시군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강화연속 103
5 로컬푸드 아카데미 확대 운영연속 104
6 가칭식생활교육충남위원회 운영신규 104
제6장 식생활교육 실천 로드맵
제1절 부문별 투자계획 로드맵 108
1 바른 식생활과 식습과 개선을 위한 식생활교육 기반 구축 108
2 食農의 이해 및 가치 증진을 위한 학교지역 간 협력 강화 109
3 먹거리인권과 복지 증진을 위한 찾아가는 식생활교육 확대 110
4 지역 고유의 전통 식문화 발굴 및 계승발전 110
5 식생활 개선을 위한 홍보 및 食農거버넌스 구축 111
6 전략별연도별 투융자 계획안20162017 111
제2절 기간별 실천 로드맵 112
제3절 추진체계 로드맵 112
1 식생활교육 전담 부서 설치 112
2 가칭식생활교육충남위원회 설치 및 운영 114
3 식생활교육 추진 체계도 116
부록 118
Ⅰ 보고회 자료 118
Ⅱ 현장 조사 125
Ⅲ 설문 조사 147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기흥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충남미래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마을학회 일소공도 공동 토론회(CNI세미나2017-072) 2017. 06. 24
충남리포트-(제288호) 충남 청년농업인 육성 실태 및 정책 방향 2017. 12. 22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제2회 동북아 농업유산 컨퍼런스 참가 및 농업유산 지역 조사 (일본 니이가타현) - 금산인삼농업유산 선진사례 2015. 06. 2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교토부 도시민 농촌유치 사례조사(일본 교토) 2016. 10. 24
(해외출장보고서)베트남경제연구소 초청세미나 2019. 01. 24
-
조영재
공주발전 대토론회(이소영,조영재,양광호) 2016. 04. 29
제 1회 한중 3농 포럼(조영재,탕빙위안,청야오) 2015. 09. 14
충남마을연구회 제1차 워크숍 - 충남 마을연구 사례 및 향후 연구과제(김필동,유보경,조영재) 2015. 04. 17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43호 2008. 06. 01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김정하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충남형 농어촌서비스 기준에 따른 실태조사 2014. 10. 23
2013년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마을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 두마면 농소1리, 엄사면 엄사2리, 엄사면 유동2리 - 2013. 04. 11
2014년 계룡시 농촌마을 역량강화 사업 용역 2014. 06. 16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 2012. 09. 14
-
정지인
2022년 충남 노선버스 운송 손익분석 및 공정한 배분에 관한 연구 2022. 04. 18
일반농촌 마을의 경제활동 실태 조사 2017. 06. 01
농업`농촌과 환경의 접목: 농업생태환경프로그램 도입(CNI세미나2017-077) (오현석, 김태연,이관률) 2017. 07. 06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충남 여성농어업인 복지를 위한 행복바우처 실태분석과 정책과제 2017. 04. 01
충남연구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현장토론회: 한산소곡주와 지역경제 활성화(CNI세미나2017-035) (나장연, 김용렬, 이관률) 2017. 05. 23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