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청남도는 석탄화력발전소 석유화학단지 등 대기오염 배출시설이 밀집된 지역으로 기상 조건과 지형적 영향에 따라 고농도 미세먼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농도 미세먼지의 기상학적 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과학적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농도 미세먼지는 주로 2월3월에 자주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빈도가 낮지만 절대 농도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요소 간 상관 분석에서는 풍속과 강수량 시정이 감소할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산시 동문동과 천안시 성황동의 사례 분석에 따르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야간 농도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서산에서는 해풍의 영향으로 습한 조건에서도 고농도가 나타났다 특히 2008년과 2009년 두 차례에 걸쳐 서산시에서 6일 연속 고농도 사례가 발생하며 해륙풍에 의한 기상 변화가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풍향풍속 분석에서는 서산이 서풍남서풍 계열 천안은 서남서풍 계열에서 고농도 발생 확률이 높았다 이는 외부 유입과 산업단지 내부 배출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석되며 도심의 교통량도 중요한 오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역궤적 분석 결과 서산의 고농도 미세먼지는 외부 유입44보다 내부 요인56이 더 높았고 천안 역시 내부 기여도가 61로 분석되었다 천안은 지형상 풍속이 낮아 확산이 어려운 반면 서산은 해풍에 의한 확산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용하면서도 발전소 영향으로 농도는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는 배출원 자체뿐 아니라 기상과 지형의 상호작용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충남 전역을 대상으로 한 측정소 확충 및 미세먼지 예보의 정밀화 계절별 대응 전략 수립이 향후 정책 과제로 제시된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의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농도 미세먼지는 주로 2월3월에 자주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빈도가 낮지만 절대 농도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미세먼지 농도와 기상 요소 간 상관 분석에서는 풍속과 강수량 시정이 감소할수록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산시 동문동과 천안시 성황동의 사례 분석에 따르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야간 농도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서산에서는 해풍의 영향으로 습한 조건에서도 고농도가 나타났다 특히 2008년과 2009년 두 차례에 걸쳐 서산시에서 6일 연속 고농도 사례가 발생하며 해륙풍에 의한 기상 변화가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풍향풍속 분석에서는 서산이 서풍남서풍 계열 천안은 서남서풍 계열에서 고농도 발생 확률이 높았다 이는 외부 유입과 산업단지 내부 배출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해석되며 도심의 교통량도 중요한 오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역궤적 분석 결과 서산의 고농도 미세먼지는 외부 유입44보다 내부 요인56이 더 높았고 천안 역시 내부 기여도가 61로 분석되었다 천안은 지형상 풍속이 낮아 확산이 어려운 반면 서산은 해풍에 의한 확산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용하면서도 발전소 영향으로 농도는 높았다
결론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는 배출원 자체뿐 아니라 기상과 지형의 상호작용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충남 전역을 대상으로 한 측정소 확충 및 미세먼지 예보의 정밀화 계절별 대응 전략 수립이 향후 정책 과제로 제시된다
목차
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대상지역
22 측정자료
23 분석방법
2장 충청남도 미세먼지 농도 현황
1 평균농도현황
2 고농도 발생현황
21 대기환경기준 초과발생빈도
22 고농도 연속사례일
3장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특성 기상학적 분석
1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기상 특성
11 미세먼지와 기상요소 간 상관성
12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기상 여건
13 풍향풍속에 따른 고농도 발생 특성
2 연안기상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미치는 영향
3 충청남도 미세먼지 기원 분석
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A 최근 10년 월별 바람장미
부록 B 고농도 사례일 일기도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21 대상지역
22 측정자료
23 분석방법
2장 충청남도 미세먼지 농도 현황
1 평균농도현황
2 고농도 발생현황
21 대기환경기준 초과발생빈도
22 고농도 연속사례일
3장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특성 기상학적 분석
1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기상 특성
11 미세먼지와 기상요소 간 상관성
12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기상 여건
13 풍향풍속에 따른 고농도 발생 특성
2 연안기상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에 미치는 영향
3 충청남도 미세먼지 기원 분석
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A 최근 10년 월별 바람장미
부록 B 고농도 사례일 일기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지수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3. 20
충청남도 지역 대기환경기준 설정 기초 연구 2016. 09. 08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2. 16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9. 30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8. 22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2016. 07. 01
-
이상신,김동혁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제14호 2017. 10. 10
2017년 내포시 친환경 클러스터 체험교육지원(기후변화교육) 2017. 01. 01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2016. 07. 01
충청남도 지역 대기환경기준 설정 기초 연구 2016. 09. 08
충청남도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안) 설정 연구 2016. 0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