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2012년 충남 온실가스 배출량은 144억tCO2로 전국의 227를 차지했으며 대부분은 화력발전에서 기인했다 감축사업은 산업비산업 부문으로 나뉘며 비산업 부문은 도 자체적으로 3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7개 부문 45개 사업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이행계획을 수립했다
2016년 감축사업은 고효율 LED 교체 태양광 및 지열에너지 보급 천연가스 버스 확충 폐열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었으며 감축량은 정량적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대구 서울 청주 등 타 지자체의 사례도 참고하여 감축 효과와 경제성 분석이 병행되었다
충청남도의 감축사업은 대부분 비산업 부문에 집중되었고 사업별 온실가스 감축효과와 비용효과성이 함께 평가되었다 일부 사업은 감축량 산정의 어려움과 이행력 부족 등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이행 평가 결과를 토대로 2017년 계획에 보완점을 반영하였다
2017년 계획은 국가 감축목표에 부합하도록 설정되었으며 에너지 효율 향상 재생에너지 확대 녹색생활 실천 등 실현 가능성이 높은 감축수단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감축사업별 예산 감축량 예상치를 포함한 실행계획이 제시되었고 장기적으로 Post2020 체제 대비 방안도 함께 제안되었다
충남은 향후 산업에너지 전환 지역 기반 온실가스 인벤토리 강화 행정재정적 지원체계 확립 등을 통해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감축 수단의 실효성을 높이고 참여 주체 간 협력 체계를 강화함으로써 탄소중립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목차
1 국가 온실가스 감축계획 분석
2 충청남도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계획 분석
3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사업 사례조사
4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현황 및 분석
2장 2016년 온실가스 감축사업 감축량 정량화
1 2016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정량 평가 개요
2 2016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방법
3 2016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결과
3장 2016년 온실가스 감축사업 이행평가
1 2016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이행평가 개요
2 이행평가 결과 분석
3 이행평가 결과에 따른 시사점
4장 2017년 온실가스 감축사업 계획 평가
1 2017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계획
2 2017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계획 평가
5장 Post2020 대비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제안
1 국가 온실가스 감축계획에 따른 충청남도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방안
2 부문별 신규 온실가스 감축사업 발굴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수향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기후변화 적응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11) 2021. 06. 04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제13호 2017. 07. 31
충청남도 2019~2020년도 녹색성장 계획 이행평가 2020. 10. 01
충청남도 기후위기대응 인식도 조사 2021. 05. 01
2020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0. 01. 01
-
최원근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7. 17
내포시 친환경 클러스터 체험교육사업 지원(기후변화 교육) 2016. 06. 28
적정기술 교육 교재 및 매뉴얼 자료의 전자책(E-Book) 웹페이지 구축 공개·보급 및 확산 2016. 09. 19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6. 12
2017년 내포시 친환경 클러스터 체험교육지원(기후변화교육) 2017. 01. 01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