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지역의 기후바람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기후지도를 제작하고 이를 대기오염 물질의 이동 및 확산 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한다 연구는 2014년 한 해의 기상관측 및 수치모델 자료를 바탕으로 고도별월별 바람분포를 분석하였으며 대기 중 오염물질의 거동을 이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는 풍속이 강해 장거리 이동 가능성이 커지고 겨울철에는 북서풍의 지배로 중국 등 외부 오염원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5월과 7월에는 남서풍 계열의 바람으로 인해 수도권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4월6월9월10월은 풍속이 약해 지형적 영향이 커지고 대기오염물질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특정 계절에는 충남 지역이 대기오염에 취약할 수 있으며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고려한 환경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바람에 따른 오염물질의 직접수송 경로를 파악하는 데에도 본 지도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충남 서북지역의 기상대기질 상관분석 결과 대산AWS 지점에서는 북서풍이 가장 많이 관측되었으며 평균풍속은 32ms로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당진AWS 지점은 남서풍과 북서풍의 빈도가 높고 평균풍속은 169ms로 나타났다 여름철에는 남풍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뚜렷하게 우세하며 지역별로 계절별 탁월풍이 다르게 나타나는 국지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독곶리와 난지도리 지점의 대기질과 풍향 자료 분석 결과 독곶리에서는 남풍의 빈도가 높고 평균풍속은 약 11ms 난지도리는 북서풍과 남풍이 우세하며 평균풍속은 약 30ms로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 농도는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NO2는 가을철 SO2는 겨울과 봄 PM10은 겨울부터 봄철에 고농도를 나타냈다 이는 기상조건과 배출원의 영향을 함께 받는 복합적 결과로 해석된다
풍향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석에서는 동풍일 경우 NO2 PM10 SO2의 고농도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NO2는 동풍 시 95퍼센타일 농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SO2는 서풍계열에서 높은 고농도 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은 특정 풍향에서 오염물질이 집중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풍계 기반의 환경 감시와 예측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의 바람기후지도는 지역 특화형 대기환경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반이 되며 국지적인 바람 특성과 대기질 자료의 정밀한 비교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바람의 국지성 오염물질 농도의 계절성 풍향에 따른 위험도 차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환경 대응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5월과 7월에는 남서풍 계열의 바람으로 인해 수도권에서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으며 4월6월9월10월은 풍속이 약해 지형적 영향이 커지고 대기오염물질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특정 계절에는 충남 지역이 대기오염에 취약할 수 있으며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고려한 환경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바람에 따른 오염물질의 직접수송 경로를 파악하는 데에도 본 지도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충남 서북지역의 기상대기질 상관분석 결과 대산AWS 지점에서는 북서풍이 가장 많이 관측되었으며 평균풍속은 32ms로 비교적 강한 편이다 당진AWS 지점은 남서풍과 북서풍의 빈도가 높고 평균풍속은 169ms로 나타났다 여름철에는 남풍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뚜렷하게 우세하며 지역별로 계절별 탁월풍이 다르게 나타나는 국지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독곶리와 난지도리 지점의 대기질과 풍향 자료 분석 결과 독곶리에서는 남풍의 빈도가 높고 평균풍속은 약 11ms 난지도리는 북서풍과 남풍이 우세하며 평균풍속은 약 30ms로 나타났다 대기오염물질 농도는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NO2는 가을철 SO2는 겨울과 봄 PM10은 겨울부터 봄철에 고농도를 나타냈다 이는 기상조건과 배출원의 영향을 함께 받는 복합적 결과로 해석된다
풍향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 분석에서는 동풍일 경우 NO2 PM10 SO2의 고농도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NO2는 동풍 시 95퍼센타일 농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SO2는 서풍계열에서 높은 고농도 빈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은 특정 풍향에서 오염물질이 집중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풍계 기반의 환경 감시와 예측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의 바람기후지도는 지역 특화형 대기환경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반이 되며 국지적인 바람 특성과 대기질 자료의 정밀한 비교 분석이 추가로 필요하다 바람의 국지성 오염물질 농도의 계절성 풍향에 따른 위험도 차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환경 대응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목차
I 연구 개요
II 바람기후 분석
1 계절별 종관기상 특성
2 충남지역 월별 바람기후지도
3 제언 및 한계
III 충청남도 서북지역 바람대기질 상관 분석
1 측정소 현황
2 대기질 측정소 주변 기상청 바람자료 분석
3 기상대기질 상관분석대기질측정소 자료 기준
풍향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95퍼센타일 확률분포CPF
4 제언 및 한계
II 바람기후 분석
1 계절별 종관기상 특성
2 충남지역 월별 바람기후지도
3 제언 및 한계
III 충청남도 서북지역 바람대기질 상관 분석
1 측정소 현황
2 대기질 측정소 주변 기상청 바람자료 분석
3 기상대기질 상관분석대기질측정소 자료 기준
풍향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농도분포 및 95퍼센타일 확률분포CPF
4 제언 및 한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지수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3. 20
충청남도 지역 대기환경기준 설정 기초 연구 2016. 09. 08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2. 16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9. 30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8. 22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2016. 07. 01
-
김동혁
미세먼지 원인규명과 예보기술 활용 관계자 워크숍(CNI세미나2017-138)(김동혁,문난경,이재범) 2017. 11. 01
대기유해물질 영향조사에 대한 관계자 회의(CNI세미나2017-070) 2017. 06. 20
내포신도시 축산악취 개선 주민만족도 조사 지원 2017. 07. 03
노후 화력발전소 가동중단과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 2017. 07. 03
충남지역 고농도 미세먼지(PM10) 발생일의 기상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2017. 0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