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정책홍보 관련 법제도는 옥외광고물법과 공공디자인 진흥법 등을 중심으로 검토되며 옥외광고물의 경우 현수막 간판 선전탑 등 다양한 형태의 홍보수단이 허용된다 공공디자인 대상 시설물로는 벽화 안내판 지하도 등 다양한 공간이 포함되며 공공시설은 시군별 조례와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디자인 심의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정책홍보가 시각적공간적 측면에서 도민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가림시설 벽화 조형물 로고젝터 차량 랩핑 캠페인 등 다양한 방식이 활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서울 광주 대구 등은 공사장 가림시설이나 공공시설 벽면을 활용한 시각적 홍보에 집중했으며 프랑스 미국 중국 등 해외에서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거나 환경건강 등 주제를 반영한 설치미술 모바일 앱 등 참여형 홍보 방식이 두드러졌다 특히 크라우드소싱과 같은 참여형 홍보가 정책 인식 제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공유재산 중 정책홍보 적용대상은 총 98개소로 공공건축물과 공공공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적용 방식은 건축물 외벽 활용 방조제 벽화 현수막 게시대 설치 등이다 공간 특성에 따라 타일벽화 시트인쇄 조형물 설치 등 다양한 표현 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태안군 방조제에 적용된 홍보벽화 사례는 홍보 효과가 큰 대표적 예시로 언급된다
추진 방안으로는 도 단독 홍보 외에도 시군 협력을 통한 홍보 공간 확대와 공용차량 랩핑을 활용한 유동적 홍보 수단이 제안된다 향후에는 공공재산 외 온라인 현장교육 캠페인 등 민간 영역까지 정책홍보 공간을 확대하고 민관 소통형 정책홍보 창구를 마련해 도민의 목소리를 반영한 참여형 홍보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의 정책홍보는 공공시설을 기반으로 시각적 예술적 참여적 요소를 결합하여 다양화된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의 공감대를 넓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민간과의 협력 확대와 표현방식의 창의적 진화를 통해 충남의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II 정책홍보 관련 법제도 현황
1 관련 법제도 분석 범위
2 관련 법제도 분석
III 국내외 사례 분석
1 국내사례
2 국외사례
3 분석 및 시사점
IV 충남 정책홍보 활용방안
1 정책홍보 적용대상
2 유형별 적용
3 기타 적용 및 추진방안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방재성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충남형 도시재생정책 추진방향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161)(장윤배,변혜선) 2017. 12. 06
[정책연구]충남 농촌 주거환경 개선 방안 2016. 03. 01
충남 공공디자인 컨설팅 발전방안 2018. 03. 01
충남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실태조사 2014. 06. 02
[디자인 정책연구] 충청남도 경관심의 개선방안 연구 2015. 04. 06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