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내포신도시 축산악취 개선 주민만족도 조사 지원
현안

내포신도시 축산악취 개선 주민만족도 조사 지원

기간
2017. 07. 03 ~ 2017. 07. 31
연구책임자
김동혁
키워드
내포신도시,축산악취,주민만족도,악취개선,정책방향,노후축사,설문조사,충남연구원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내포신도시 축산악취 개선 주민만족도 조사 지원_김동혁_20171106_현안과제 성과품(2017일반-74)_제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내포신도시는 축산악취 문제로 인해 주민 불만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충남도는 축산악취 저감 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응답자 220명 중 95가 악취를 경험했으며 이 중 618는 악취가 강하다고 느꼈다 악취는 주로 여름과 봄 오전 69시 및 오후 612시 사이에 발생하며 흐린 날씨와 홍북면 방향에서 자주 감지되었다 특히 아파트가 밀집한 남서쪽 지역에서 악취 체감도가 높았다
악취 발생 원인은 축산농가의 관리 부실386과 노후 축사 개선 미흡373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악취 강도가 높다고 느낀 응답자일수록 행정기관의 단속 부재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개선도에 대해서는 469가 약간 개선 52는 매우 개선되었다고 평가했으며 거주 기간이 길수록 악취 개선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주민들은 향후 정책 방향으로 노후 축산시설의 현대화264와 이전 또는 폐업468을 우선 과제로 제시하였다 특히 악취를 강하게 느낄수록 시설 이전 또는 폐업에 대한 요구가 컸으며 실질적이고 구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했다 이는 단기적인 저감 조치보다 근본적인 축산환경 개선이 요구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개선 방안으로는 우선 축산악취의 발생원인과 특성에 대한 교육 및 홍보를 통해 주민과 축산농가 간의 불신을 해소하고 저감사업의 장기 비전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축산악취 개선 추진성과를 점검하고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정책 워크숍 개최도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 선진 기술을 도입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장기적으로는 축산악취 저감을 위한 조례 제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고 제도적 기반을 확보해야 한다 조례는 악취관리의 법제화를 통해 행정의 책임성과 정책 실행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정책 추진의 근거가 된다 또한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도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내포신도시의 축산악취 문제는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민들은 실질적인 변화와 구조적 개선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충남도는 주민의 요구를 반영하여 정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제도적교육적기술적 수단을 통합하여 악취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목차

I 조사개요
1 목적
2 내용
II 조사결과
1 축산악취 체감도
2 축산악취 발생특성
3 축산악취 발생원인
4 축산악취 개선도
5 축산악취 저감 정책 방향
III 개선방안
1 교육홍보 정책 장려
2 축산악취개선 추진성과 및 과제 워크숍 개최
3 축산악취저감 조례 제정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