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를 대표할 지역 상징 수산물인 도어道魚 지정을 위한 사례분석을 통해 도어 후보군을 제안하고 선정기준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지자체의 지역 상징 수산물 사례와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도어 선정의 기준으로 고유성 연관성 차별성 상징성 대표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충남의 해면어종인 조피볼락 멸치 전어와 내수면어종인 감돌고기 흰수마자를 도어 후보군으로 제안하였다
각 후보군은 생태적 특성 지역 연관성 인문적 가치 등을 기반으로 평가되었으며 조피볼락과 감돌고기 흰수마자가 각각 7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피볼락은 충남 해역에서 생산량이 많고 향토음식인 우럭젓국과의 연관성이 높다 감돌고기와 흰수마자는 금강 유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으로 생태적 고유성과 환경상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멸치와 전어는 대표성과 고유성은 있으나 타 지역에서도 흔히 생산되어 차별성 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평가를 받았다
도어 지정은 단순한 심볼 설정을 넘어서 해당 수산물을 지역 상징으로 활용해 해양관광과 수산물 소비 촉진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 고등어 사례처럼 캐릭터 가공식품 축제 관광상품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 가능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브랜드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충남도는 도어 선정을 통해 수산업 정책과 연계한 종합적 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수 있다
도어 지정 프로세스는 관계 전문가 자문 후보군 선정 도민 설문조사 최종 선정 절차로 이루어지며 객관성과 지역 대표성 확보가 핵심이다 충청남도 도어선정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체계적인 평가와 선정이 가능하며 향후 어류뿐만 아니라 패류 갑각류로도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도민 참여를 통해 상징물에 대한 지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도어 활용은 CIBI 디자인 개발 수산가공식품 연구 지역 특산물 브랜드화 등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제작 지역 축제 등 문화콘텐츠로의 확장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충남의 해양자원과 생태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관광객 유입 및 지역 인지도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민간 참여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의 도어 지정은 해양수산 정책과 지역 브랜드 전략을 결합한 중요한 사업으로 생태적문화적산업적 가치를 아우르는 상징 수산물 도입이 필요하다 체계적인 평가 기준과 주민 참여 기반의 절차를 통해 도어를 선정하고 이를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함으로써 충남 해양정책의 정체성과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각 후보군은 생태적 특성 지역 연관성 인문적 가치 등을 기반으로 평가되었으며 조피볼락과 감돌고기 흰수마자가 각각 7점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피볼락은 충남 해역에서 생산량이 많고 향토음식인 우럭젓국과의 연관성이 높다 감돌고기와 흰수마자는 금강 유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으로 생태적 고유성과 환경상징성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멸치와 전어는 대표성과 고유성은 있으나 타 지역에서도 흔히 생산되어 차별성 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평가를 받았다
도어 지정은 단순한 심볼 설정을 넘어서 해당 수산물을 지역 상징으로 활용해 해양관광과 수산물 소비 촉진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산 고등어 사례처럼 캐릭터 가공식품 축제 관광상품 등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 가능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브랜드 구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충남도는 도어 선정을 통해 수산업 정책과 연계한 종합적 마케팅 전략을 추진할 수 있다
도어 지정 프로세스는 관계 전문가 자문 후보군 선정 도민 설문조사 최종 선정 절차로 이루어지며 객관성과 지역 대표성 확보가 핵심이다 충청남도 도어선정위원회의 운영을 통해 체계적인 평가와 선정이 가능하며 향후 어류뿐만 아니라 패류 갑각류로도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도민 참여를 통해 상징물에 대한 지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도어 활용은 CIBI 디자인 개발 수산가공식품 연구 지역 특산물 브랜드화 등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제작 지역 축제 등 문화콘텐츠로의 확장도 필요하다 이를 통해 충남의 해양자원과 생태 이미지를 통합적으로 알릴 수 있으며 관광객 유입 및 지역 인지도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민간 참여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의 도어 지정은 해양수산 정책과 지역 브랜드 전략을 결합한 중요한 사업으로 생태적문화적산업적 가치를 아우르는 상징 수산물 도입이 필요하다 체계적인 평가 기준과 주민 참여 기반의 절차를 통해 도어를 선정하고 이를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함으로써 충남 해양정책의 정체성과 실효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지역 상징 수산물의 사례
1 지역 상징 수산물 사례소개
2 타 지역 상징 수산물의 시사점
IV 도어 후보군 제안 및 평가
1 도어道魚 선정방향
2 도어道魚 후보군
3 도어道魚 후보군 평가
V 도어지정 프로세스 및 활용방안
1 도어道魚지정 프로세스
2 도어道魚 활용방안
VI 결론
참고자료
II 선행연구 검토
III 지역 상징 수산물의 사례
1 지역 상징 수산물 사례소개
2 타 지역 상징 수산물의 시사점
IV 도어 후보군 제안 및 평가
1 도어道魚 선정방향
2 도어道魚 후보군
3 도어道魚 후보군 평가
V 도어지정 프로세스 및 활용방안
1 도어道魚지정 프로세스
2 도어道魚 활용방안
VI 결론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