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청남도 에너지전환 비전 수립 연구용역
수탁

충청남도 에너지전환 비전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17. 04. 20 ~ 2017. 12. 15
연구책임자
여형범
연구자
이민정,고명찬,차정우
키워드
에너지전환,충청남도,탈석탄,재생에너지,시민참여,기후변화 대응,에너지 시나리오,에너지 거버넌스
다운로드

충청남도(2017)_충남 에너지전환 비전 수립 연구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정책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충청남도는 석탄화력발전 중심의 구조에서 탈피하여 재생에너지 중심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 파리협정 이후 국내외 에너지 정책도 저탄소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충남은 전국 발전설비의 약 20를 차지할 정도로 발전 밀집 지역이나 전력 생산의 60 이상을 외부로 공급하며 사회환경건강 피해를 감내하고 있음 석탄화력에 따른 대기오염 및 온실가스 배출로 연간 75조 원 이상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분석도 제시되었다
에너지다소비형 산업 구조 낮은 에너지 자립도 외지 자본 중심의 재생에너지 개발 등의 구조적 문제가 병존하고 있어 에너지전환은 단순한 기술 변화가 아닌 지역경제사회구조 전반의 변화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시민 참여형 정책 수립이 핵심이다
탈석탄 시나리오로는 기준 시나리오 탄소경제 신에너지산업 에너지시민 등 4가지가 제시되었으며 이 중 시민 참여와 에너지 자립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 에너지시민 시나리오가 선호도에서 가장 높았다 도민 기획단 워크숍을 통해 비전과 실천과제도 도출되었다
충남 에너지전환 비전은 에너지 시민이 만드는 별빛 가득한 충남으로 설정되었으며 채움 키움 비움 나눔의 4대 전략과 10대 실천과제가 함께 제시되었다 주요 지표로는 소비 절감 공급 전환 에너지 시민 역량 강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포함되었다
비전 실현을 위한 추진체계는 에너지 거버넌스 구축 전담 조직 설립 시민 역량 강화 교육 중장기 목표 설정과 모니터링 체계로 구성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지역 중심의 분산형 에너지체계를 구축하고 중앙정부 정책을 보완하는 지자체 주도형 전환 모델을 확립하고자 한다

목차

I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추진체계
3 연구의 방법
4 연구의 주요 과정
II 제2장 충남의 에너지 현황과 여건 분석
1 현황 및 특성
2 에너지 이슈
3 관련계획
4 국내ㆍ외사례
III 제3장 탈석탄 에너지전환 시나리오 개발
1 충남 에너지 시스템의 지속가능한 전환
2 에너지 시나리오의 개발
3 시나리오 설정
4 시나리오들의 비교
IV 제4장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
1 시민참여형 에너지 비전 및 계획 수립 개요
2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 구상 및 설계
3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 결과
4 향후 과제
V 제5장 에너지전환 비전과 실행방안
1 충남 에너지전환 비전
2 충남 에너지전환의 목표 지표
3 충남 에너지전환의 4대 전략과 10대 실천과제
4 충남 에너지전환 비전의 추진체계
부록
1 에너지시민 시나리오 주요 변수
2 최종보고회 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