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부가서비스>통합검색

통합검색

통합 검색
검색
새로고침
정렬

기간

범위

원문공개
(다운로드)

간행물 (2,044)

더보기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5호) 충남의 석탄화력발전 일시 가동중단에 따른 주민건강실태조사 결과와 제언

본 연구는 지난 6월 충남의 노후된 석탄화력발전 일시 가동중단에 따른 주민건강실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후속 정책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원 : 명형남 2017. 12. 07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4호) 충남 6차산업 성과 분석과 확대 방안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추진한 6차산업의 성과와 과제를 분석하고 미래 6차산업 정책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원 : 정현희 2017. 12. 05

간행물>출판/해외출장

(해외출장보고서)제3회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 참석(중국 상해, 항주)

2017년 12월 4일부터 9일까지 중국 상하이와 항저우에서 제3회 한중 사회적경제 국제세미나가 개최되었으며 한국과 중국의 사회적경제 정책과 사례가 공유되었다 양국 기관 간 협력 확대와 사회적경제 현장에 대한 상호 이해 증진을 목적으로 구성되었다한국은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의 정책 동향과 현황 미국일본 사례 등을 소개했고 중국은 자국 사회적기업의 개념과 실천 전자상거래와 고용 사회혁신 사례 등을 발표했다 특히 중국은 사회적기업 인증제 도입과 민간 중심의 활동이 특징으로 나타났다BR

간행물>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정책지도 제17호) 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

충남의 주요 하천 수질오염은 생활하수가 약 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축산폐수와 토지에서 유입되는 배출수 산업폐수 등이 뒤를 잇는다 각 오염원은 하천별로 기여율이 달라 맞춤형 대응이 필요하다천안천 성환천 아산천 온천천 등은 생활하수로 인한 오염 기여율이 높으며 하수처리시설이 부족하거나 미처리 구간이 존재해 수질개선을 위한 1순위 지역으로 선정되었다홍성군 금리천 아산시 둔포천 등은 축산폐수로 인한 오염이 주요 원인으로 축사 밀집 지역과 가축사육 증가가 배출량 증가의

연구원 : 김홍수,최정호,박상현,조병욱 2017. 11. 29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3호) 중국 랴오닝성.장쑤성 정책 동향과 충남 연계 방안

이 연구는 랴오닝성과 장쑤성의 일반 현황 주요 산업 및 경제 정책과 추진 전략 등을 살펴보고 충남과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연구원 : 박인성,비웨이닝 2017. 11. 29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2호) 충남 지역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관리 방안

본 연구는 충남의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 피해 실태를 토대로 야생동물 관리 제도의 한계를 파악하여 농작물 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제안함

연구원 : 정옥식 2017. 11. 23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1호) 충남 생태계서비스 시범사업 추진 방안과 과제

이 연구는 충남도의 주민참여형 생태계서비스 시범사업과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시범사업 관련 제도 개선 방안 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원 : 여형범 2017. 11. 17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80호)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실태와 활성화 방안

문화예술의 역할과 기능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충남 문화예술인 분포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충남 문화예술인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해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원 : 박철희 2017. 11. 15

간행물>출판/충남정책지도

(충남정책지도 제16호) 충남 반도체 산업 현황과 전망

충남의 반도체 산업은 사업체 수 기준 전국 2위 종사자 수 기준 3위를 기록하며 2010년 대비 2015년에 사업체 수는 1167 증가했지만 종사자 수는 4 감소했다 매출은 8조 원으로 증가했지만 전국 대비 비중은 소폭 감소했다산업은 천안아산 등 경기 인접지역에 밀집하며 종사자 수 100인 이상 기업이 15개소 이 중 4개소는 500인 이상 규모다 삼성전자 온양사업장 주변에 테스트패키징 중심의 중견기업들이 집적되어 있다충남 반도체 산업은 경기 지역에서 생산된 칩을 패

연구원 : 김양중,임병철,김혜정 2017. 11. 13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9호) 충남 생활도로 교통안전 증진방안

이 연구는 충남의 생활도로 안전도가 취약해짐에 따라 생활도로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

연구원 : 김원철,정민영 2017. 11. 13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8호) 보령댐 급수능력 평가 및 가뭄대비 정책 제안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인 가뭄으로 용수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보령댐의 급수능력을 평가하고 가뭄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함

연구원 : 김영일,정우혁 2017. 11. 02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7호) 정책 외교 중심의 충남 지방공공외교 3.0 전략

본 연구는 시대적 전환의 관점에서 충남 공공외교의 방향성과 충남 지방 외교의 전략을 제시하고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원 : 홍원표,강수현 2017. 11. 01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6호) 충남 공동체 에너지 육성을 위한 에너지 리빙랩 구상

이 연구는 충남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해 에너지자립마을 사업을 공동체 에너지 사업으로 전환할 필요성과 시범적으로 리빙랩 방식의 공동체 에너지 사업 추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원 : 여형범 2017. 10. 31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5호) 전원마을 조성사업 실태와 정책과제

이 연구는 쇠퇴하는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해 시행중인 전원마을신규마을 조성사업 정책 추진 동향 실태를 검토하고 정책 과제를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원 : 이상준,한상욱,임형빈 2017. 10. 26

간행물>출판/해외출장

(해외출장보고서)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2017년도 하반기 해외연수_국내기업 신흥시장 진출 및 정부개발원조사업 사례 벤치마킹(베트남 호치민시)

2017년 10월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 주관으로 베트남 다낭 달랏 호치민을 방문하여 ODA 우수사례 및 국내기업의 신흥시장 진출 현황을 벤치마킹하였다다낭에서는 첨단산업단지 개발 및 도시개발 전략을 중심으로 다낭사회경제연구원과 교류했으며 달랏에서는 고소득 작물 재배와 그린시티 조성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달랏 밀크와 커피농장 웰컴투 달랏 딸기농장은 한국 기술을 도입한 대표적 성공사례로 고품질 농축산물 생산과 체험관광 연계를 통한 경제활성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NI

연구원 : 강현수,임형빈,신진우 2017. 10. 26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4호) 미래 생명자원인 토종씨앗의 체계적 보존과 활용 정책

최근 GMO유전자 변형 농산물로 대표되는 식품안전성 문제가 대두되면서 토종씨앗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이에 충남 도내 다양한 토종씨앗 보존 활동과 과제를 분석하고 향후 보존과 육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원 : 박경철 2017. 10. 20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3호) 충남 농어촌지역의 인구구조 실태와 정책 과제

본 연구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토대로 충남 농어촌지역의 생산가능인구와 독거노인인구 실태와 특성을 분석해 향후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함

연구원 : 윤정미 2017. 10. 17

간행물>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272호) 인구 고령화가 충남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이 연구는 고령인구 증가 출산율 저하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으로 나타나는 인구 고령화가 충청남도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방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보고 정책방안을 마련하기 위함임

연구원 : 최웅선 2017. 10. 13

간행물>출판/국내외교육훈련

(국내외교육훈련보고서)2017년 단기교육 결과보고서

뉴질랜드 마켓 현황 및 시사점

연구원 : 윤정미 2017. 10. 12

간행물>출판/해외출장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제13회 동북아시아지역 자치단체연합 환경분과 회의 참석 및 발표(일본 도야마현)

1 방문목적 동북아시아지역 자치단체연합 환경분과위원회 회원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보전에 관한 개별 프로젝트 실시결과와 제안상황 보고 등 정보 교환을 실시하여 향후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국제환경 협력사업 추진방책에 대해서 합의함2 일정 및장소 일정 2017년 10월 11일 2017년 10월 14일3박4일 장소 일본도야마현 참가국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