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 연구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충남 공공디자인 미래발전계획 워크숍

충남 공공디자인 미래발전계획 워크숍

기간
20140728 ~ 20140728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이충훈
연구자
강현수,오병찬,방재성,박혜은
파일다운로드
충남공공디자인 미래발전계획 워크숍 자료집(2014.7).pdf
목차
Ⅰ. 계획의 배경과 목적

1. 계획의 배경

2. 계획의 목적

3. 계획의 범위와 방법

Ⅱ. 충남 공공디자인 운영체계 분석

1. 충남 공공디자인센터 현황

(1) 설립 목적 및 연혁

(2) 기능 및 인력구성

(3) 실적 및 성과

2. 충남 경관·공공디자인 추진체계 현황

(1) 충남도청 공공디자인 조직 현황

(2) 충남 및 시․군 공공디자인 행정기반 현황

Ⅲ. 공공디자인 여건변화와 과제

1. 국내 공공디자인 경향 분석

(1) 국내 공공디자인 정책 현황 분석

(2) 타 시도 디자인 조직 분석

(3) 국내 유사기관 분석

2. 해외 공공디자인 경향 분석

(1) 해외 공공디자인 정책 분석

(2) 해외 유사기관 및 디자인사업 분석

3. SWOT 분석 및 발전방향 설정

Ⅳ. 목표 및 추진계획

1. 비전 및 목표 설정

(1) 패러다임의 전환

(2) 충남 공공디자인의 비전

(3) 충남 공공디자인의 목표

2. 추진 전략 (※ 예시 안, 추후 조정)

(1) 지역장소에 대응하는 경관 및 공공디자인 통합화 계획 수립

(2) 공공디자인의 의사결정, 행정, 절차적 통합화 방안 수립

(3) 민간전문가, 주민 참여에 의한 협력적 디자인체계 구축

(4) 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 및 기반 구축

(5) 공무원, 시민 교육 확대

(6) 정주성 확대, 문화, 장소생산 체계를 위한 사업 확대 및 연계

3. 추진체계 및 추진과제

(1) 추진체계

(2) 전략별 추진과제

4. 단계별 세부실행계획

(1) 기반조성단계

(2) 계획수립 추진단계

(3) 정착단계

(4) Feedback 단계

Ⅴ. 운영 및 재정계획

1. 운영계획

2. 재정계획

3. 인력계획

내용
1. 계획의 배경

○ 건축기본법, 경관법 제정 등에 따른 건축, 도시디자인 및 경관의 질적 향상을

위한 법제도의 기반 구축과 요구 증대

- 지역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 및 지역환경 개선과 정부정책의 기조

○ 질적 향상을 위한 건축도시정책의 전환기를 맞고 있으나 지자체의 공공디자

인 사업의 디자인 품질 관리여건은 미성숙

- 충남 공공디자인 전략과 마스터플랜 수립 필요

- 시민들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증가

○ 충남 공공디자인의 통합적 정책 수립 및 관리 수단 필요

- 공공디자인 품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체계화되지 않

은 디자인 정책과 사업 시행

- 충남의 디자인 통합관리 실행을 위한 시군 통합이지미 구축방안 모색

- 디자인 전문 행정인력이 부족한 지역의 상황 극복

- 지자체의 디자인품질 관리수준 향상을 위한 민간전문가 참여체계 및 지원체계 구축방안 필요



- 이후 생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