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양=안성원 기자] 충남 청양군 주민들이 인구 유출의 대표적 원인으로 열악한 ‘일자리’와 ‘교육환경’을 꼽았다. 이 같은 결과는 군의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나타났다.
12일 군에 따르면, 연구용역을 수행한 충남연구원은 지난 9~10월 한 달여 간 주민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주민들은 인구감소에 대한 체감도는 높았지만, 마을 공동체 유지에 대한 전망은 의외로 낙관적이었다.
인구 체감을 묻는 질문에 ‘감소함’이 73.9%(매우감소 7.7%)로 압도적이었던 반면, 마을인구 전망에 대해서는 ‘마을인구는 감소하지만 유지될 것’이 73.1%로 ‘비슷할 것(22.5%)’이나 ‘소멸(3.4%)’에 비해 월등했다.
이를 뒷받침 하듯 청양군 거주 의향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는 답변이 ‘73.2%(매우 그렇다 18.7%)’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인구유입 부족원인으로는 ‘일자리 부족(37.4%)’과 ‘자녀교육시설 부족(28.8%)’ 순으로 높았다. 인구유출 원인 역시 ‘일자리부족(36.5%)’, ‘자녀교육시설부족(24.9%)’ 순이었다.
다만, 인구유입 가능 대상으로는 ‘청년(17%)’이나 ‘신혼부부(2.4%)’ 보다 ‘중장년층(39.1%)’과 ‘은퇴자(34.5%)’를 더 많이 선택했다.

같은 맥락에서, 인구정책 우선적 추진분야에 대한 질문에 ‘기업유치 및 일자리 창출 분야(37.6%)’와 ‘정주환경 분야(29.3%)’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실제로 학부모들은 교육문제로, 취·창업이 최대 문제인 청년층은 일자리 문제로 청양을 떠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학부모 설문조사에서 자녀의 학력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87점이었으며, ‘만족(10.3%)’ 보다 ‘불만족(23.7%)’이 두 배 이상 많았다. 교육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의 질적 차이(38.1%)’, ‘학원, 돌봄 등 시설 부족(25.8%)' 순으로 나타났다. 타지역 유학계획이 있다는 응답이 ‘63.9%’나 나온 이유이기도 하다.
충남도립대 학생 대상 조사에서도 졸업이후 청양 거주 및 취업여부를 묻는 질문에 ‘아니오’가 69.6%로 ‘그렇다(30.4%)’는 응답의 두 배 이상 많았다. 이들은 또 청양 거주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소득 및 일자리(73.9%)’를 최우선으로 꼽았다.
인구유출 원인 '일자리 부족', '자녀 교육환경' 순
충남연구원, '일자리 맞춤' 4대전략·19개 사업 제시
지난 4월부터 이번 연구용역을 수행한 충남연구원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대 전략과 1800억 원 규모의 19개 세부 사업을 선정, 내년부터 2031년까지 10년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기존의 ‘청정 농촌도시’의 이미지를 벗어나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공격적인 전략이 등장한 점이 눈에 띈다.
4대 전략과 세부 사업을 살펴보면, 첫 번째 ‘다각적, 획기적 외부인구 유입’ 전략을 위해 ▲게임·영상산업의 육성 ▲4차산업혁명 창농 사관학교 운영 ▲청양‘온(溫) 공동체’ 육성 ▲토지·주택 뱅크 구축 및 운영 ▲과소마을 주민수당제 도입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공격적 일자리 창출 및 주거환경 개선’에는 ▲일자리 예스매칭(Yes Matching) 센터 운영 ▲‘청양틈새일자리 거래소’ 플랫폼 구축 ▲‘모여라 육아공동체 타운’ 조성 ▲청양형 워케이션하우스 조성 ▲탄소중립 선도형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 등이 제시됐다.

세 번째 ‘책임지는 육아, 차별화된 교육지원’으로는 ▲청양형 영유아 돌봄전담사양성 및 지원 ▲청양 우리 아가 담당 주치의 사업 ▲자연친화형 노마드 놀이터 조성 ▲청양 뿌리내림 지원사업 ▲청소년 탑클래스 학습센터 운영 등을 추천했다.
마지막 ‘잠재적 관계인구 창출로 지속성 확보’ 전략의 사업에 ▲체재형별장 프로젝트 추진 ▲‘인생 맛집! 멋집!’ 온라인 콘테스트 개최 ▲청양사랑 향우청년회 조직 및 귀향운동 전개 ▲로컬디자이너 육성 등을 포함시켰다.
김돈곤 군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립되는 기본계획이 실질적인 인구증가 대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이번 연구 결과를 전국 89개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지역소멸대응기금 지원 등 행정안전부의 활력 방안 정책과 긴밀하게 연계하고, 제안 사업들에 대한 검토를 거쳐 내년 1월 중 인구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남을 비방하는 말, 비속어, 음란성 글, 광고성, 실명을 사용하지 않은 글은 관리자 임의로 바로 삭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