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열린소통광장>보도자료

남을 비방하는 말, 비속어, 음란성 글, 광고성, 실명을 사용하지 않은 글은 관리자 임의로 바로 삭제합니다.

전국 귀농·귀촌 1번지 충남으로 오세요
전국 귀농·귀촌 1번지 충남으로 오세요
작성자 김소연 작성일 2022. 09. 02
조회수 598
파일





수도권에서 충남으로 오는 귀농·귀촌 비율 전국 1


 


충남 농촌지역의 활력을 되찾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귀농·귀촌이 떠오르고 있다.


 


최근 충남연구원 조영재 선임연구위원은 충남의 귀농·귀촌 통계자료(통계청·농림축산식품부, 2021)를 분석한 인포그래픽에서 저출생, 고령화로 지역경제의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귀농·귀촌은 지속가능한 충남 농촌을 만들어가는 핵심 키워드라고 말했다.


 


지난 2021년 기준, 충남의 귀농인구는 1,821(전국의 12.6%), 귀촌은 53,250(10.7%)으로 전국 지자체 중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수도권에서 충남으로 귀농·귀촌하는 비율은 전국 1위다. 귀농의 56.5%, 귀촌의 37.1%가 수도권에서 오고 있다.


 


조 선임연구위원은 귀농·귀촌을 왜 하는지 조사한 결과, 농촌의 자연환경이나 농업 분야 소득 창출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업(직장) 등이 높게 나왔다농촌이 새로운 일과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이를 더욱 보강할 수 있는 정책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2015년과 2021년을 기준으로 충남 귀농인의 전업과 겸업 비율을 비교해보니, 전업은 74.1%에서 67.1%로 줄었고, 겸업은 25.9%에서 32.0%로 늘어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귀농·귀촌이 증가했는데, 귀농은 50~60대가 주를 이루는 반면, 귀촌은 20~30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조 선임연구위원은 충남도가 전국 귀농·귀촌 1번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귀농 중심에서 귀촌 중심으로 정책의 확대 수도권을 비롯한 충청권 유치 전략 강화 청년층 귀농·귀촌 유입 확대 정책 귀농·귀촌 관련 맞춤형 정보제공 및 모니터링 등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특히 농업 이외 겸업이 가능한 다양한 일자리와 소득원 확충을 위한 지원정책은 물론, 미래의 잠재적 인구유입을 위한 청년층 지원정책과 관계인구 확대 방안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연구문의 : 조영재 선임연구위원 041-840-1202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