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2015년 기준 충청남도 가축분뇨 발생량은 하루 2만 263로 이 중 돼지가 495를 차지한다 시군별로는 홍성군 당진시 예산군이 전체 발생량의 446를 차지하며 돼지의 사육밀도와 분뇨 발생 비율도 가장 높다
가축분뇨는 자원화퇴비 액비 재활용 721 공공 및 정화처리 241로 처리되고 있으며 9개 시군에 공공처리시설이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무분별한 퇴비 적치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육밀식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은 아산시 등 일부로 확인되며 허가대상 사육시설이 분뇨 발생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자원화율이 높은 반면 실제 적정처리 여부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과제로는 행정체계의 일원화 가축사육지역 제한 면적두수 기준 강화 자원화 시설 확대 공공처리시설 개선 비료 수요량에 기반한 적정 분배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계획은 20172025년을 3단계3년 단위로 나누어 수립되며 축종규모지역별 관리방향 제시와 함께 법령 개정 사항을 반영한 실천 가능한 체계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환경보전과 도민 건강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목차
1 배경 및 목적
2 충청남도 가축사육 및 가축분뇨 현황
3 충청남도 가축분뇨 관리계획
4 단계별 추진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상현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금산군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19. 08. 29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따른 효율적인 개발계획 추진방안 연구 2018. 07. 04
계룡시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20. 02. 06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22. 10. 04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7년 이행평가 2018. 05. 14
-
김홍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행사 2016. 03. 25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동경-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연구 용역 2010. 07. 19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
최정호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워크숍(CNI세미나2017-038) (최정호) 2017. 02. 0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아산 배방 월천지구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수환경 영향평가 연구 2019. 04. 29
아산시 삽교호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변경 2020. 04. 01
아산시 삽교호수계의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21. 06. 18
-
조병욱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논산시 2018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9. 06. 03
금강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
충청남도 도랑살리기 운동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평가(2021년) 2021. 01. 06
삽교호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